"AI반도체 퍼스트 무버 되겠다"…정부, 1兆 투입

입력 2020-10-12 18:02
수정 2020-10-13 01:31
정부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2025년까지 1조원 이상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들을 아직 시장 형성 초기 단계인 AI 반도체 분야의 강자로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12일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는 정세균 국무총리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AI산업이 성장하려면 빅데이터를 활용해 엄청난 양의 계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계산 장치가 필요하다. 여기에 특화된 장치가 시스템반도체의 일종인 AI 반도체다. 시장과 관련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성장 잠재력은 크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과 시장분석업체 가트너 등에 따르면 올해 21조1700억원 수준인 시장 규모는 2030년 135조3100억원까지 급증할 전망이다.

정부는 현재 미미한 수준인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2030년까지 2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AI 반도체 혁신기업 20곳과 관련 고급 인재 3000명도 육성하기로 했다. 국내 기업에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산업화 등을 지원해 AI 반도체의 ‘절대 강자’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025년까지 1조원 이상을 투입하고,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산업부·과기정통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는 AI 반도체 산업전략 회의를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지원 사업은 기술개발 및 인재 육성과 산업 생태계 조성 등 두 축으로 이뤄진다. 기술개발 분야에서는 독자적인 국내 기술로 세계 수준의 AI 반도체를 개발하도록 하는 ‘초격차 기술 확보’를 목표로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다수 추진한다. 이를 통해 개발된 기술은 한국판 뉴딜 사업인 ‘데이터 댐’ 인프라 구축에 시범 도입해 실증할 예정이다.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각 대학과 연구소에 AI 반도체 아카데미를 세워 석·박사급 설계 인력을 육성하기로 했다. 수천억원 규모의 아카데미 설립 재원은 기업과 정부가 절반씩 부담한다.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혁신기업에 뉴딜펀드 재원을 대거 투입하기로 했다. 경기 평택·용인 등 중부권에는 R&D 및 산업단지 역할을 수행하는 공정혁신밸리도 구축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AI 반도체 시장은 한국이 패스트 팔로어(빠른 추격자)에서 벗어나 시장의 퍼스트 무버(개척자)로 변신할 절호의 무대”라며 “기업들이 미국 중국 대만 등 주요 경쟁자들을 앞설 수 있도록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성수영/이해성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