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젊은 경제학자상을 받게 돼 큰 영광이다. 한국에서 열심히 연구하는 많은 또래의 경제학자 가운데 이 상을 받게 된 만큼 어깨에 무거운 짐을 짊어지게 됐다. 사회현상을 이론모형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매력에 끌려 경제학을 공부하게 됐다. 깊이 있는 연구를 하면서 현실을 단순화·추상화하는 이론모형의 한계와 바람직한 역할을 이해하게 됐다.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연구도 하면서 연구가 질적으로 한 단계 성숙해졌다.
미국 프린스턴대 박사 과정 때는 통화·재정 정책 수립과 파급경로를 연구 주제로 삼았다. 두 정책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내용의 논문을 여러 편 작성했다. 장기적으로 국가부채 등 재정건전성을 관리하지 않고 재정정책을 펴는 경우 중앙은행이 물가안정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국가부채가 늘어날수록 물가가 올라간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두 정책의 상호작용이 물가·경기변동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
경제학자의 연구 주제는 현실경제 흐름에 적잖은 영향을 받는다. 박사 과정 때 글로벌 금융위기를 접하면서 금융위기의 거시경제적 요인과 통화·재정 정책의 국제적 파급효과에 관심이 커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신흥국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는 논문도 이 당시 작성했다. 신흥국은 당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양적완화 정책을 ‘통화 쓰나미’로 부를 만큼 경계했다. 하지만 우려와 달리 선진국의 양적완화 정책 효과는 신흥국 실물경제에 파급효과가 크지 않았다. 신흥국 금융시장에만 일부 영향을 미치는 데 그쳤다는 것을 논문을 통해 입증했다.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신흥국 금융시장·거시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계량적으로 추정해 분석했다.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시점에 신흥국은 기준금리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자본유출 규모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기준금리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신흥국은 생산 감소와 자산 하락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관련 연구를 지속해 대외의존도가 높고 그만큼 대외 충격에 취약한 한국 경제에 기여하고 싶다.
최근에는 기업들의 이질적 특성이 통화정책 파급효과와 경기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통계 분석 과정에서 적잖은 장애물이 있다. 하지만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는 등으로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수상의 영광을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하고 싶다. 부족한 제자를 끈기 있게 이끌어준 은사인 김재영 서울대 교수님과 크리스토퍼 심스 프린스턴대 교수께 감사를 전하고 싶다.
■ 약력
△1978년생
△2000년 서울대 경제학부 졸업
△2005년 서울대 경제학 석사
△2011년 미국 프린스턴대 경제학 박사
△2011~2014년 홍콩대 조교수
△2014~2016년 일리노이주립대(UIUC) 조교수
△2020년~ 서울대 경제학부 부교수
△2020년~ 한국금융학회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