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망권 뛰어난 한강벨트 아파트 수요 여전"

입력 2020-07-19 15:47
수정 2020-07-19 16:06

“앞으로도 실수요자 중심의 서울 내 한강벨트 아파트 수요는 여전할 것입니다.”

김효선 농협은행 NH올백(All100)자문센터 부동산 전문 수석위원(사진)은 1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강 인근 아파트는 수변공원과 숲을 누릴 수 있고, 조망권도 뛰어나며 도심과 가깝다는 장점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6·17, 7·10 부동산 대책 이후에도 은행 자산관리(WM)센터에는 아파트 구매를 상담하는 문의가 끊이지 않는다. 서울 강남보다는 서대문·영등포·강동지역의 6억~9억원대 아파트는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가 여전하다는 게 김 수석위원의 설명이다. 잇따른 초강력 대책에 투기수요는 꺾였지만 ‘더 오를 여지가 남았다’ ‘지금이 가장 쌀 때’라는 심리도 남아 있기 때문이다.

김 수석위원은 “주요 아파트 구매층으로 떠오른 30대 말고도, 다양한 실수요자가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직 내 집을 마련하지 못한 40대, 넓은 집으로 갈아타려는 1주택자, 기존 주택을 처분해 현금을 손에 쥔 뒤 소형 평형대로 옮겨가려는 장년층 등이다.

김 수석위원은 “이번 부동산 대책의 결과로 서울에 가격대별 계층현상이 나타났다”고 했다. ‘9억원 이하 입지가 괜찮은 아파트’의 상승세는 완전히 꺾이지 않은 반면 15억원 전후의 고가 아파트는 보유세 인상 등의 영향으로 ‘보합세’가 나타날 여지가 있다는 분석이다. 지방에서도 치솟던 호가가 가라앉는 결과가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한편 ‘기왕이면 서울’을 택하는 ‘역(逆)풍선효과’도 벌어졌다. 김 수석위원은 “수도권 3기 신도시 입지가 나쁘지 않고 교통 대책도 나왔지만, 실제 서울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까진 너무 오랜 기간이 남았다”고 했다.

‘현금부자’들이 부동산 규제를 피해가는 움직임도 속속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최근 ‘반짝 인기’를 끄는 아파트 경매다. 김 수석위원은 “최근 경매의 낙찰가가 높아진 건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에서도 허가받지 않아도 되고, 근저당권을 안고 사면 대출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라며 “새로운 규제로 조만간 막힐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도 주택시장에는 변수로 떠올랐다. 김 수석위원은 “대지지분이 적은 주상복합은 그동안 아파트에 비해 인기가 없었지만, 코로나19를 계기로 재평가받고 있다”고 했다. 주거, 업무, 헬스, 쇼핑 등을 모두 건물 내에서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서울 마포에 15억원짜리 ‘똘똘한 아파트 한 채’를 구입하기 힘든 사람이 주상복합을 살 수는 있다”며 “최근 입지가 뛰어난 공덕역 인근, 청량리 분양 주상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파트 보유세를 높이는 정책 방향은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김 수석위원은 “소득이 많은 자산가에게 세금을 더 물릴 수밖에 없다”며 “양도세가 조정되더라도 보유세는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장기적으로는 부동산 시장에 ‘아파트의 대안’을 찾으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카멜레온 존’ 성격을 갖춘 상업용 건물, 오피스텔 등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수 있다는 의미다.

김 수석위원은 “건물 자체를 의미하는 ‘하우스’에서 정서적 문화적 공간인 ‘홈’을 찾으려는 수요가 커졌다”며 “집 주변에서 상업, 문화적으로도 재미를 누릴 수 있는 주거공간을 선호하는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서울에서는 합정동, 당산동, 청파동의 단독주택, 서계동 국립극단 일대 등 주거와 인근의 문화를 함께 누릴 수 있는 지역이 향후 더 각광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