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이마트를 제치고 유통업종 시가총액 1위에 오르기도 했던 GS리테일이 최근 고전하고 있다. 같은 편의점주인 BGF리테일 주가도 부진하다. 편의점 매출 부진과 최저임금 급등 우려가 겹친 탓이다.
13일 GS리테일은 0.41% 오른 3만6750원에 거래를 마쳤다. GS리테일은 5월 14일 장중 4만4900원까지 뛰며 이마트를 제치고 유통업종 시가총액 1위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하락세를 그리며 전고점 대비 18.15% 떨어졌다. 같은 기간 BGF리테일 주가도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이날 BGF리테일은 0.77% 떨어진 12만8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5월 이후로 23.05% 빠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초기 편의점주는 수혜주로 분류됐다. 사람들이 외출을 자제하면서 대형마트보다 집 근처 편의점에서 소비를 늘릴 것이란 이유에서다. 기대와 달리 GS리테일과 BGF리테일 모두 2분기 실적이 좋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은 이날 GS리테일의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를 772억원으로 제시했다.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인 853억원보다 9.4% 적은 수준이다. BGF리테일도 작년 동기 대비 26.5% 감소한 448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을 것으로 추정했다.
남성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로 학교 개학이 늦어지면서 학교·학원가 주변 편의점 매출이 감소했고 외국인 관광객 감소에 따른 영향도 컸다”고 설명했다. 대학교 내 매점 등 특수점 비율이 높은 BGF리테일의 실적이 더 큰 폭으로 악화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유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을 앞두고 투자심리는 더 악화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15일까지 내년도 최저임금 심의를 마쳐야 한다. 노동계는 시간당 9430원(9.8% 인상), 경영계는 8500원(1.0% 삭감)을 각각 주장 중이다.
하지만 두 편의점주 모두 하반기 실적 반등 기대감은 크다. 2학기가 시작되면 부분적 개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GS리테일의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작년보다 38.8% 늘어난 3316억원이다. 3개월 전 전망치(2607억원)보다 27.1% 늘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