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경유해 중국 가는 반도체 등 물류비 증가

입력 2020-05-28 17:52
수정 2020-05-29 01:14
미국이 홍콩에 대한 특별지위를 박탈하는 수순에 들어가면서 홍콩을 미국과 중국 수출을 위한 경유국으로 활용해온 한국의 수출 전선에 빨간불이 켜졌다. 홍콩은 중국, 미국, 베트남에 이은 한국의 4대 수출국이다. 지난해 수출액은 319억달러였다.

28일 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작년 대(對)홍콩 수출 1위 품목은 반도체로 수출액이 222억달러에 달했다. 이 중 약 80%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력 제품인 메모리 반도체다. 홍콩에 수출된 반도체의 90% 이상은 중국으로 재수출됐다.

홍콩은 달러화 결제가 가능하고 최대 17%에 달하는 부가가치세 환급도 중국보다 유리해 그동안 중국으로 향하는 반도체의 경유지 역할을 해왔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홍콩 제재가 본격화하면 선전 등을 통해 중국으로 직수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물류비 등 관련 비용이 늘어나 수익성이 다소 나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중국 정보기술(IT) 기업 화웨이를 제재하는 등 미·중 갈등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홍콩 경유 대신 중국으로 직수출하는 물량을 늘리는 것도 반도체업계엔 부담이다.

중국에서 제조한 제품을 홍콩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하는 데도 타격이 예상된다. SK이노베이션과 LG화학 등은 중국 공장에서 생산한 석유화학제품을 홍콩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해왔다. 미국이 홍콩산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면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특별지위를 잃게 되면 홍콩은 중국 본토와 동일하게 미국이 부과하는 최대 25%의 보복 관세를 물어야 한다. 중저가 범용 제품의 경우 관세 부과로 가격 경쟁력이 약화돼 수출을 접어야 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한국 정부는 홍콩 국가보안법과 관련해 원론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김인철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이날 입장을 묻는 말에 “일국양제하에서 홍콩의 번영과 발전이 지속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주시하고 있다”고 답했다.

외교부는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열린 외교전략조정회의에서도 홍콩 국가보안법에 대해 논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보형/임락근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