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상임위원장직 11대7로…법사위·예결위는 조율 못 해

입력 2020-05-26 22:37
수정 2020-05-26 22:39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21대 국회 상임위원회 위원장 자리를 각각 11개, 7개씩 가져가기로 합의했다. 다만 법제사법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 핵심 상임위를 두고는 이견을 좁히지 못한 상황이다.

김성원 미래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는 26일 오후 통합당 3선 이상 중진의원 모임 직후 취재진을 만난 자리에서 "상임위 위원장 정수는 (여야 각각) 11대7로 정해졌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와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만나 본격 원 구성 협상에 돌입했다.

김 원내대표는 원 구성 협상에 앞서 "통합당의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이 독자 교섭단체를 꾸릴 경우 상임위원장 자리를 모두 가져갈 수도 있다"라면서 엄포를 놓기도 했다.

국회법상 상임위원장 선출은 표결을 통해 가능하다. 그러나 그동안 국회는 의석수 비율에 따라 교섭단체끼리 상임위원장직을 나눠 갖는 관행을 이어왔다. 한국당은 이날 통합당과의 합당을 선언했다.

다만 정수만 정했을 뿐 각각 어떤 상임위를 가져갈지는 정하지 않았다. 협상 첫날부터 법사위, 예결위를 두고 신경전이 펼쳐졌다.

김 원내수석은 "한쪽에서 국회의장을 가져가면 다른 쪽이 법사위원장을 가져가면서 국회 내 견제와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라면서 "법사위원장은 통합당에 내주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21대 국회의 민의는 일 좀 하라는 것이다. 국회의 가장 큰 역할은 입법권과 정부가 편성한 예산에 대한 심의권을 잘 활용하는 것"이라며 "법사위원장뿐만 아니라 예결위원장도 민주당에서 통 크게 양보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주 원내대표는 3선 이상 중진의원 모임에 참석한 취재진을 만난 자리에서 '법사위와 예결위를 둘 다 가져오겠다는 방침에 변화가 없는가'라는 질문에 "우리도 2개(법사위, 예결위) 다 가져와야 하고 민주당도 2개 다 가져가야 한다고 한다"라고 답했다.

그는 "(3선 이상 중진의원들이) 치열하게 협상해야 한다는 주문을 많이 했다"라고 강조했다.

조준혁 한경닷컴 기자 pressc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