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쇼핑몰과 걸어서 갈 수 있는 집 근처 소매점으로 물류유통 산업이 재편될 것이다.”
정부 국책연구기관이 전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도시인의 소비방식이다. 코로나19에 따른 경세 사회적 위기로 인해 도시인들이 전례 없는 경험을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시정책과 도시계획에도 새로운 관점과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국토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코로나19 시대 도시 사회?공간 변화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18일 발간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도시 사회?공간적 변화의 흐름을 대중교통수단의 위기, 공유경제의 위축, 비대면 의사결정 방식의 확대 등으로 요약했다. 이 같은 근무 및 생활 방식의 변화로 전통적 사무공간과 식당·유흥업소 수요는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집단이용시설에 대한 새로운 시설물 설치·운영 기준도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대중교통, 공유경제 위축… 도시 교통난 심화”
국토연구원은 대중교통수단 이용자?수입 감소, 위생관리 비용 지출이 장기화될 경우 요금인상과 정부지원 확대 요구가 나타날 수 있다고 봤다. 반면 승용차 등 개인교통수단 이용 증대로 대도시는 교통난이 심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숙박공유업, 공유주택(셰어하우스)보급사업, 공유모빌리티 등 공유경제는 전염 불안감 등 시설공유에 대한 강한 거부감으로 위축될 것이라 예상했다. 공청회·설명회 등 직접 참여형 의사결정방식 추진이 어려워지면서 비대면 의사결정방식도 확대될 것으로 봤다. “주민참여·여론수렴 방식의 질적 수준이 낮아질 수 있다”고 보고서는 우려했다. 코로나19의 확산은 재택근무의 도입 확대를 촉진했다. 일반 사무실과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스마트워크와 같은 공유사무실의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봤다.
◆“집 근처 편의점, 온라인 주문 선호… 상가 공실 늘어날 것”
보고서는 물류유통 부문에서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우선 음식배달서비스업 매출이 급성장했다. 이로 인해 조리공간만 확보해 비용을 절감하고 배달을 통해 영업하려는 자영업자가 늘어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보고서는 “특히 환기문제가 있는 지하상가?식당?유흥업소, 접근성이 낮은 상점을 중심으로 매출 감소와 공실률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비대면 소비방식이 더 확대될 전망이다. 많은 소비자들이 오프라인 구매 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상품구입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앞으로 오프라인 대형유통업체의 가격 경쟁력 상실을 가져올 것”이라며 “이른 귀가와 근거리 소비선호로 편의점과 기업형 슈퍼마켓 같은 동네 소매점의 매출이 증가하는 등 물류유통사업의 변화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시 분산은 비효율적… 투명하고 체계적 도시정책 필요”
국토연구원은 코로나19 문제해결을 위해 대도시의 규모경제, 집적경제를 포기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했다. 장점이 많기 때문이다. 대신 투명하고 신속, 정확한 정보공개와 체계적 협력을 주문했다. 이를 통해 대규모 확진 사태를 충분히 막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노인요양병원 등 고위험 취약계층의 집단이용시설, 종교시설, 도시계획시설인 학교, 공공청사, 문화시설 등의 설치·운영과 공급·관리 기준 마련을 요구했다.
도시계획 부문에서도 도보권 내에서 생필품 구매가 가능하도록 기초생활권에 대한 배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기존 폐점포나 유휴공공시설물을 적극 활용해 고령자나 약자계층을 위한 공공·민간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왕건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장은 “대중교통이용객의 감소는 철도역, 버스터미널, BRT 정류장 등을 중심으로 추구해온 역세권 개발과 중심지 기능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며 “대중교통수단의 방역·서비스 강화를 위한 공공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