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틸 수 있는 기간은 한두 달 정도입니다. 하루하루 살얼음판을 걷는 기분이네요.”
경기도에서 특수소재 업체 T사를 운영하는 박 대표(48)는 요즘 출근길 발걸음이 무겁다. 회사 유동자금이 바닥을 보이고 있어서다.
그는 매일 아침 회사에 도착하자마자 일별·월별 자금수지표를 챙기는 것으로 일과를 시작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후 주요 매출처인 해외 방위산업체의 주문이 뚝 끊겼다. 공공기관 납품도 꽉 막혔다.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지난 2월 이후 입찰 일정이 무기한 연기됐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최근 공공입찰이 재개될 것에 대비해 미리 제품 생산에 들어가면서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고 있다. 매달 인건비 등 고정적으로 들어가는 돈만 10억원 안팎. 여기에 제품 생산을 위한 원자재 구매 자금 20억원도 필요하다.
당장 빌려야 할 돈은 약 30억원. 연간 매출 200억원 이상을 안정적으로 올리며 은행들로부터 서로 돈을 써달라는 요청을 받기도 했지만, 코로나19 사태 후 상황이 급변했다. 주거래 은행에 신청한 대출은 사실상 ‘불가’ 통보를 받았다. ‘담보 여력을 소진해 추가 자금을 대출받기 어렵다’는 게 공식 사유였다. 은행 지점 관계자는 그에게 “코로나19 사태 후 은행 내부적으로 대출 기준이 강화됐다”고 귀띔했다. 그러면서 “정부 정책에 맞춰 소상공인을 상대로 한 소액대출에 집중하다 보니 수십억원 규모 대출은 우선순위에서 밀린다”고 전했다.
박 대표가 은행에 이어 찾은 곳은 캐피털사. 연 10%에 가까운 금리가 부담이었지만 비교적 대출이 잘 된다는 얘기를 접해서다. 하지만 여기서도 ‘대출이 불투명하다’는 답변을 들었다. “업황이 안 좋은 데다 회사의 현금흐름도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박 대표는 “정부가 코로나19 피해 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40조원이 넘는 돈을 풀었다고 하지만 우리처럼 어중간한 규모 기업엔 ‘그림의 떡’”이라고 말했다. 소규모 자영업자는 소상공인 긴급대출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큰 기업은 정부의 기간산업 지원금을 받지만 자신의 회사는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하소연이다. 그는 “이러다 고금리 사채시장으로 내몰리지 않을까 두렵다”고 했다.
김동현/민경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