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출이 고용에 기여하는 비율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 하지만 소득기여도는 꾸준히 상승해 수출산업의 노동 생산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0일 발표한 '우리 수출의 부가가치 및 고용 창출 구조 변화(2000~2019)'에 따르면 2000~2011년 우리나라 실질 수출 연평균 증가율은 9.1%로 나타났다. 2011~2019년에는 연평균 2.5%로 떨어졌다.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23%에서 2011년 36%까지 상승했지만, 이후 작년까지 35~36% 수준에서 제자리 걸음 하고 있다.
보고서는 "수출 증가율 정체가 한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다"라며 "2000년대 초 세계교역은 글로벌 가치사슬(GVC) 확산과 함께 나란히 성장했지만 금융위기 이후 국제적 분업체계가 느슨해짐에 따라 성장도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한국 수출의 고용에 대한 기여도는 떨어졌지만 소득에 대한 기여도는 올랐다 전체 취업자 대비 수출이 유발한 취업 인원의 비중은 2000년 12%에서 2009년 19%까지 올랐다가 점차 하락해 작년에는 14%에 머물렀다.
반면 수출이 가져온 부가가치(소득)의 GDP 비중은 2000년 15%, 2009년 19%, 2019년 22%로 꾸준히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컴퓨터·전자, 화학제품, 자동차, 기계 등 대표적인 수출품목은 2010년 대비 2017년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모두 상승했지만 취업 유발 효과는 선박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하락했다.
김건우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한국수출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국내 경제에 기여하려면 성장 잠재력이 큰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취업 유발 효과가 높은 스타트업을 정책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