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은퇴세대 귀향해야…청년도, 지방도 산다

입력 2020-03-26 17:53
수정 2020-03-27 02:38
서비스업은 수요자와 가까운 곳에 입지하려는 특성이 있다. 인구의 고령화를 먼저 겪은 일본의 사례를 볼 때, 한국에서도 지방 중소도시와 시골에 ‘고령친화 서비스업’의 성장이 예상된다. 노인들의 일과는 다양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자고 일어난 것을 확인하는 안전확인서비스를 비롯해 씻기 등 일상생활 지원, 청소 및 세탁 지원, 식사 제공, 간호 및 동행, 건강·운동·교육 지원 등 관련 서비스는 무수히 많다. 이런 서비스업은 경험과 연륜이 풍부한 베이비부머들에게 적합하다. 이는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노노케어’ 사업의 사회적 확장판이 된다.

마강래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는 저서 《베이비부머가 떠나야 산다》에서 “올해부터 65세 이상 고령자층으로 편입되는 베이비부머가 귀향하는 것이야말로 지방 쇠퇴와 청년 실업 등 고령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최상책”이라고 주장한다.

베이비부머는 원래 1955~1964년 사이에 출생한 사람을 일컫지만, 1974년까지로 연장하면 20년간 태어난 이들은 국내에 1680만 명, 전체 인구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핵심 연령층이다. 저자는 “수도권에 사는 베이비부머의 절반은 지방 출신”이라며 “이들이 은퇴 후 다시 고향에서 제2의 인생을 꾸리게 도움을 줌으로써 인구 감소, 지방 소멸, 청년 실업 등 온갖 난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베이비부머가 귀향하면 대도시의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켜 젊은 세대의 거주 안정을 돕고, 지방도시의 쇠락을 막으며, 국토의 균형발전을 이루는 데도 기여한다. 세대 간 분업 전략이자 두 세대가 융합할 수 있도록 하는 상생 전략이다. 청년과 노인의 직업과 생활터전을 분리함으로써 두 세대가 공존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논리다.

저자는 “고향으로 직행하는 U턴뿐 아니라 지방 출신이 고향 근처 중소도시로 가는 J턴도 있고, 대도시 토박이가 연고 없는 지방 중소도시로 가는 I턴도 있다”고 설명한다. 책은 귀향을 한 이들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 그들을 위해 어떤 제도를 마련해야 할지 살펴본다. 귀향인이 지역주민과 어울릴 수 있도록 거주여건을 조성하고, 지방의 의료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과 지방자치단체의 귀향 촉진 제도 등도 소개한다. (개마고원, 252쪽, 1만4000원)

유재혁 대중문화전문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