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과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 오픈뱅킹을 도입하는 방안을 두고 정부와 업계 간 이견이 커지고 있다. 전 금융권으로 오픈뱅킹을 확장하려는 정부 계획과 달리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관계자들은 “득 될 게 없다”며 신중론을 제기하고 있다. 반면 같은 2금융권에 속한 카드업계는 한시라도 빨리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업계 안에서도 오픈뱅킹 도입에 따른 이해득실이 업종별로 달라 타협점을 찾기 쉽지 않은 양상이다.
상호금융 “그다지…”
오픈뱅킹은 지난해 말 시중은행과 핀테크(금융기술)업계에 본격 도입됐다. 오픈뱅킹은 한 개의 앱에서 모든 은행의 계좌를 불러올 수 있는 시스템이다. 우리은행 앱에서 신한은행 계좌 조회가 된다. 오픈뱅킹 서비스는 지난해 12월 본격 도입된 뒤 폭발적으로 이용 건수가 늘었다. 각 은행들도 오픈뱅킹으로 고객을 뺏길 수도, 또 빼앗을 수도 있는 무한 경쟁 시장이 열리자 앱을 재정비하며 치열한 고객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조만간 상호금융,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도 오픈뱅킹 도입을 준비 중이다. 최근 금융위와 금융결제원은 저축은행중앙회, 금융투자협회, 우정사업본부(우체국), 농협·신협중앙회, 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 협회와 업체들을 불러 설명회를 연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작 회의에 참석한 지역 농·축협과 신협,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 지역법인들은 오픈뱅킹 도입을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호금융 지역법인 고객은 대개 시중은행 고객보다 평균 연령이 높다. 대부분 모바일뱅킹보다는 영업점을 방문해 금융서비스를 이용한다. 오픈뱅킹 도입 효과가 떨어진다는 설명이다. 각 상호금융업체를 관할하는 농협·신협중앙회에선 이런 지역법인의 반응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중앙회 관계자는 “각 법인을 대상으로 (오픈뱅킹) 선호도를 조사하는 설문을 하기로 했다”며 “지역법인에서 다른 은행 앱에 계좌를 열어주는 게 도대체 영업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문의가 많다”고 했다.
카드사 “늦은 도입, 형평성 어긋나”
반면 신용카드업체들은 이번 설명회에 초대받지 않은 게 정부가 카드사에는 오픈뱅킹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뜻은 아닌지 걱정하고 있다. 카드사가 추진 중인 새로운 결제시스템인 마이페이먼트(지급지시업) 사업에서 오픈뱅킹 도입은 필수 조건이다. 마이페이먼트는 전표 매입 등의 과정이 필요 없는 ‘은행 간 계좌이체’로 기존 결제망을 대신하는 사업이다. 카드사로선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카드사 관계자는 “빅데이터 3법이 통과되면서 오픈뱅킹을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를 활용한 자산관리업 등 신사업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간편결제를 하는 업체 말고도 송금, 자산관리 등을 하는 핀테크업체들에 오픈뱅킹을 허용한 마당에 카드사에 도입을 늦추는 건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말했다.
이에 금융위 관계자는 “우선 송금이 가능하고 수신(예금) 기능을 하는 업계를 설명회에 부른 것”이라며 “2금융 전 업권을 대상으로 오픈뱅킹 영향을 검토하는 용역 평가를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대훈/정지은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