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권사들이 인도네시아 재계의 ‘큰손’에게 증거금 없이 미수거래를 지원했다가 주가 폭락으로 전전긍긍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현지법인을 통해 수백억원을 빌려줬다가 결제일이 한참 지났는데도 회수하지 못하고 있다. 현지 증권사들은 뒤늦게 고객 재산을 담보로 잡는 등 손실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대표 기업인으로 꼽히는 베니 조크로사푸트로 회장(사진)은 현지 증권사들에서 대규모 미수거래를 일으켰다가, 지난달 초 미수결제일에 대금을 갚는 데 실패했다. 베니 회장은 미국 포브스가 선정한 2018년 인도네시아 부호 순위에서 43위(약 7900억원)에 올랐던 기업인으로 부동산 개발회사인 핸슨인터내셔널을 비롯해 호텔 등의 사업을 이끌고 있다.
그는 차명으로 본인이 지배하는 핸슨인터내셔널 등을 미수로 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미수거래 결제일 직전 인도네시아 금융감독당국(OJK)이 핸슨인터내셔널의 은행 관련법 위반 의혹을 조사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관련 주가가 순식간에 반토막 이하로 하락해 비상이 걸렸다.
현지 증권사는 증거금 없이 미수거래를 지원해 반대매매로 대응할 수도 없다. 인도네시아에선 증권사들이 신용도가 우량한 개인 고객에게 증거금 한 푼 없이 레버리지를 지원해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증거금 없이 미수거래를 할 수 없는 한국에선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다.
베니 회장은 인도네시아에서 영업하고 있는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신한금융투자 등 현지법인과 모두 거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증거금이 없어 반대매매를 했다가는 손실이 확정되기 때문에 반대매매 대신 고객과 협상을 해서 미수금을 회수해야 한다”고 전했다.
미수거래로 빌려준 금액만 수백억원이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증권사 현지법인들은 베니 회장 재산을 담보로 잡는 등 손실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대부분 증권사들이 이 고객을 상대로 미결제액 상환과 관련한 협상을 벌이면서 상당 부분 담보를 잡고 있다”며 “자산 규모를 감안할 때 대부분 회수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거래 규모도 크고 차명 거래가 많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번 사건이 증권사들의 공격적인 해외 진출 뒤에 숨겨진 위험성을 드러냈다고 평가하고 있다. 수년 사이 국내 대형 증권사들은 인도네시아 증시의 성장세에 주목해 경쟁적으로 인수합병(M&A)에 나서거나 증자를 단행하면서 현지법인 덩치를 키워왔다. 중장기적으로 인도네시아 현지법인의 투자은행(IB) 업무가 활발해질 거란 기대를 하고 있지만 아직은 주식 위탁거래(브로커리지)에 치중하고 있는 상태다. 한 증권사 임원은 “현지 브로커리지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리스크를 떠안고 우량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현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관리에 철저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게 됐다”고 전했다.
이고운/조진형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