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관심사는 거창한 전력산업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집집마다 충분히 난방을 할 수 있는가’입니다. 남북한 에너지 협력은 인도적 지원이자 경제 상생의 첫 단계죠.”(홍석훈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북한의 석탄 매장량은 남한의 10배에 달하는 반면 기술력은 10분의 1 수준입니다. 남북이 공동으로 석탄을 생산하면 한반도 에너지 안보에 크게 기여할 겁니다.”(최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강원부의장)
대한석탄공사는 한국경제신문사, 강원대 통일강원연구원과 함께 지난 13일 강원 원주 본사에서 창사 69주년 심포지엄을 열었다. ‘서민 에너지에서 평화 에너지로’를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에서 전문가들은 “석탄산업은 남북 간 에너지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라고 입을 모았다.
석탄 분야에선 남북 ‘윈윈’ 가능
주제발표를 맡은 신재면 석탄공사 기획조정실장은 “한국은 세계 5위의 석탄 소비국”이라며 “우리 기술력으로 북한 지역에 풍부한 석탄을 채굴해 가져오면 남한의 석탄 수입대체 효과가 연간 최대 5조7427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그는 “북한산 석탄을 증산할 경우 북한 주민의 생활고를 덜고 통일비용도 줄일 수 있다”며 “북한에서 1990년부터 20년간 서울시 면적의 42배에 달하는 산림이 땔감용으로 사라진 만큼 남북 간 석탄 협력은 환경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김선태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은 “대북 제재가 계속되는 상황이어서 남북 석탄 협력이 뜬구름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베를린 장벽이 그랬듯 통일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올지 아무도 모른다”며 “석탄에너지 협력은 정교하고 실질적인 통일 준비 방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송영훈 통일강원연구원장은 “과거 우리가 통일을 말할 때 ‘북한을 어떻게 접수할 것인가’ 수준에서만 바라봤다”며 “이제는 상생을 위한 미래 전략을 추진해야 하고 그 방법이 석탄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석탄산업, 새로운 70년 준비해야
이날 심포지엄에선 ‘도전’ ‘위기’ 등의 단어가 여러 차례 등장했다. 석탄산업이 대표적인 사양 업종으로 꼽히고 있어서다. 석탄공사에 따르면 1988년 한 해 2430만t에 달했던 국내 석탄 생산량은 지난해 120만t으로 급감했다. 탄광 수도 같은 기간 347개에서 4개로 줄었다. 연탄 등 민간 소비가 감소한 데다 석탄화력발전소 가동률 역시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남북 에너지 협력이 국내 석탄산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유정배 석탄공사 사장은 “1950년 국내 1호 공기업으로 출발한 석탄공사는 내년이면 70돌을 맞는다”며 “그동안 축적해온 석탄 관련 안전관리 역량을 토대로 향후 70년을 위한 새로운 역할을 찾겠다”고 다짐했다. 석탄공사는 친환경 석탄기술 개발 등을 위해 석탄기술연구소 설립 등을 추진 중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축사에서 “에너지 전환 정책이 진행되는 지금도 서민 에너지로서 석탄의 위상은 변함이 없다”며 “석탄이 없었다면 현재의 우리나라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청룡 한국광해공단 이사장, 김재은 산업부 석탄광물지원과장 등 석탄업계 관계자뿐 아니라 푸레브 람수랭 몽골 과학기술대 지질광산대학장 등 해외 인사도 참석했다.
원주=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