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지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사진)이 13일 “한국의 통화정책은 주요 선진국과 차별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이 경기 침체 우려에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한다고 해서 한국이 이 같은 인하 추세를 따라갈 필요는 없다는 뜻이다. 지난달 금통위에서 이일형 위원과 함께 ‘금리 동결’ 소수 의견을 낸 임 위원이 이날 재차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성향을 드러냈다는 평가다.
임 위원은 이날 서울 세종대로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경기가 하강하는 국면에서는 한국의 원화가치가 떨어지면서 경기 하방 위험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경기가 나빠지면 위험자산을 회피하려는 투자자 움직임에 신흥국 통화로 분류되는 원화가치가 하락한다. 원화가치가 떨어지면 수출이 늘어나는 등 환율이 경기 변동성을 줄이는 기능을 한다. 반면 미국 등 선진국은 글로벌 경기가 나빠지면 달러 등 통화가치가 더 뛴다.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임 위원은 “이처럼 같은 충격에도 환율 변동이 다르게 나타나는 만큼 각국의 통화정책 결정은 달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 위원은 이어 “한국은 최근 20년 동안 두 번의 금융위기를 맞은 트랙레코드(이력)가 있고 대외건전성에도 숨겨진 문제가 많을 것이란 시장의 우려가 있다”며 “신흥국은 대외건전성 문제가 불거질 경우 자본 유출로 통화가치 하락이 가속화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흐름을 막기 위해 해당 국가의 신용위험을 상쇄할 만큼의 금리를 투자자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