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절반은 "4차 산업혁명이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해

입력 2019-11-04 12:27
수정 2019-11-04 13:16
중소기업의 절반가량은 4차 산업혁명이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문인력 부족과 투자 대비 효과의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에 적극 나서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 및 대응수준과 정책과제 파악을 위해 300개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중소제조업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조사’를 실시했다고 4일 밝혔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중소기업은 36.3%로 2년 전(39.5%)에 비해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하지만 같은 기간 디지털 전환을 체감하는 냐는 질문은 8%포인트 증가한 43%가 ‘그렇다’고 답했다.

중소기업은 4차 산업혁명이 ‘생산’에 가장 큰 영향(29.3%)을 미치고, ‘생산성 향상’이 가장 중요한 목표(55.7%)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응답기업의 50.6%는 4차 산업혁명이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4차 산업혁명 대응 준비와 관련,‘2~3년 내 대응계획을 마련할 것’이라는 응답이 10.0%로 가장 높았다.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전문(대응)인력 부족’(28.7%) ‘투자대비 효과 불확실’(28.3%) ‘투자자금 부족’(27.7%) ‘4차 산업혁명 등 교육 부족’(19.3%) 순으로 응답했다.

제조현장 대응실태 및 개선과제와 관련해 현재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수준은 대부분 1단계(25.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16%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주요기술을 도입했고 33%는 향후 활용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 데이터의 수집?분석?활용을 위해 클라우드·빅데이터 기술을 도입 할 경우 ‘효율성 증대’(54.2%)가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조사됐다.

다만 비용부담(38.2%), 전담?운용 인력 등 조직역량 부족(30.5%) 등이 걸림돌로 꼽혔다. 제조현장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돼야 할 사항으로는 ‘현장인력 부족’(34.0%) ‘생산설비 노후화’(27.3%) ‘시스템 도입 및 관리’(24.3%) ‘낮은 생산성’(18.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 관련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12.7%에 그쳤다. ‘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정책 부재’(72.0%)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향후 정부가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과제로는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지원 사업’(53.7%) ‘투자·연구자금 관련 세제혜택 등 지원’(36.3%) ‘인재양성 및 근로자 재교육 지원’(26.7%) ‘신기술·시스템 및 설비 지원 확대’(18.7%)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고도화 지원’(14.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정욱조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현장의 인식과 대응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문?운용인력, 투자역량 부족 등 중소기업의 애로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