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 일본에선 나루히토(德仁) 일왕의 공식 즉위식이 열렸다. 나루히토 일왕은 올 5월 즉위했지만 대내외에 즉위를 선언하는 행사를 별도로 마련한 것이다. 일본 왕실은 8세기 헤이안(平安) 시대부터 왕위 계승과 별개로 대외적으로 즉위를 공식 선언하는 의식을 해왔다. 일왕 즉위식을 계기로 왕정(王政)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왕이 국민을 다스리는 정치체제는 역사책 속에서나 등장할 법한 과거 제도로 보이지만 동양과 서양에선 일본과 영국이 입헌군주제를 유지하며 왕정의 명맥을 잇고 있다.
입헌군주제로 맥 잇는 왕정
일본의 왕정과 함께 서구의 대표적 왕정인 영국은 왕이 실권이 없는 상징적인 존재라는 점, 실제 국가 최고지도자 역할은 총리가 담당하고 있는 점에서 비슷한 부분이 적지 않다. 한편으로는 두 나라 간의 역사·문화적 차이에 따라 왕정의 운용 방식이 적잖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영국은 엘리자베스2세 현 여왕이 장기 집권하고 있는 만큼 즉위식 추억은 195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53년 6월 2일 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거행된 엘리자베스2세 대관식은 왕실 행사로는 처음으로 전 세계에 TV로 생중계됐다. 당시 영국에서만 2700만 명이 대관식을 시청했다.
영연방 국가들의 상징이 금실로 자수된 흰색 드레스를 입은 엘리자베스 여왕은 1333개의 다이아몬드와 169개의 진주로 장식된 ‘조지4세 왕관’과 1.8㎏의 순금으로 제작된 ‘성 에드워드 왕관’을 차례로 썼다. 버킹엄궁에 돌아와선 ‘대영제국 왕관’을 쓰는 상징적인 행위를 반복했다.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의 최고 지배자이자 영연방을 아우르는 존재라는 상징적 의미를 화려한 대관식을 통해 과시한 것이다.
이번 나루히토 일왕 즉위식도 오전에 왕실의 조상과 역대 일왕 등에게 즉위를 보고하는 예를 올리는 것으로 시작했다. 오후에는 도쿄 고쿄(皇居·왕궁) 내 접견실인 마쓰노마에서 1913년 다이쇼(大正) 일왕(재위 1912~1926년) 즉위식용으로 제작돼 히로히토(裕仁) 일왕과 아키히토(明仁) 일왕의 즉위식에서도 사용된 대좌에 오르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일왕은 즉위식에서 황갈색의 전통복장을 하는 등 왕실의 권위와 전통성을 강조하는 형태로 식이 진행됐다.
같은 듯 다른 왕위계승 원칙
전통을 강조하는 형태로 국가 통합의 중심 역할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영국과 일본 왕실이 공통점이 많지만, 구체적인 왕실의 운용 방식에선 적잖은 차이점도 보인다. 영국과 일본 왕실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는 왕위계승 원칙이다.
영국 왕실은 남성 우선, 장자 상속 원칙을 따른다. 하지만 우선순위에 남성 왕위계승 후보자가 없을 경우 여성 즉위도 허용한다. 1714년 하노버 왕조(1917년 윈저왕조로 이름을 바꿈)가 개창된 이후 이 같은 원칙에 따라 19세기 빅토리아 여왕과 현 엘리자베스2세 여왕 등 여왕도 별 잡음 없이 왕위를 물려받았다. 현재 영국의 왕위계승 서열은 찰스 왕세자, 윌리엄 왕자, 조지 왕손 순이지만 2015년생인 샬럿 공주도 왕위계승 서열 4위에 자리잡고 있다.
일왕의 경우 7세기에 고대 천황제가 성립된 이후 왕위계승이 원활치 않은 경우가 적지 않게 나타났다. 형제 계승, 여성 일왕, 생전 양위가 속출했다. 여성 일왕의 존재가 드문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메이지 유신 이후 1889년 선포된 대일본제국헌법(메이지헌법)에서 일왕가의 계승은 부계 남성으로만 한정했다. 이 같은 규정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확정된 일본 왕실전범에도 적용됐다.
문제는 현 나루히토 일왕이 아들 없이 딸만 자식으로 두면서 일본 내에서도 여성 일왕을 허용해야 한다는 논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현재 일본의 왕위 계승 후보는 아키히토 상왕의 친동생인 마사히토(84)와 현 일왕의 동생 후미히토(54), 친조카 히사히토(13) 등이다. 나루히토 일왕의 어린 친조카가 사실상 가장 유력한 왕위계승 후보다.
하지만 왕위를 잇는 데 방계로 가야 한다는 점, 히사히토 이후에도 계속해서 남성 계승자가 이어질지 확실치 않다는 점, 남녀평등을 규정하고 있는 일본헌법 등에 따라 여성의 왕위 계승을 허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앞서 2001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가 ‘여성 왕위계승’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바도 있다.
NIE 포인트
전제군주제와 입헌군주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정리해보자. 입헌군주제에서 왕의 의미와 상징, 역할 등을 알아보자. 왕실의 재정은 어떻게 충당되는지 알아보자. 일본과 영국 입헌군주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토론해보자.
김동욱 한국경제신문 도쿄 특파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