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자동차의 트위지 등으로 대표되는 초소형 전기차가 국내 완성차 시장에 미칠 영향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르노삼성에 이어 산업통상자원부도 초소형 전기차 보급에 팔을 걷고 나섰기 때문이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미 지난해 네 바퀴 초소형 전기차 개발을 위해 정부가 3년 간 70억원의 예산을 집행하는 중이며, 완성된 제품은 2017년에 등장할 예정이다. 이어 올해부터는 세 바퀴 초소형 전기차 개발에 50억원을 투입, 네 바퀴 초소형차와 같은 해에 등장시킬 예정이다. '디자인 융합 및 초소형 전기차(마이크로 모빌리티) 신산업 생태계 구축' 사업으로 진행되는 이번 프로젝트에는 중소 및 중견기업, 비영리연구소, 대학, 자동차부품연구원, 지방자치단체, 한국교통연구원 등의 여러 기관이 참여했다. 내년까지 국비 280억원과 지자체 예산 120억원이 투입돼 새로운 이동 수단 등장에 따른 다양한 사업 영역이 개척될 전망이다. 정부가 이처럼 초소형 전기차 개발에 직접 나선 배경은 도시화 현상 때문이다. 산통부에 따르면 향후 10년 내에 세계 인구의 60%가 대도시에 집중된다. 실제 25년 전 인구 1,000만명 이상 도시는 22곳에 머물렀지만 지금은 30곳으로 늘어났다. 또한 대도시 근로자 66%가 개인용 차를 이용하고, 그 중 80%는 최장 120㎞ 이내의 거리를 오간다는 점에서 승용차의 수송 기여율은 지속적으로 하락 중이다. 따라서 도심 내 새로운 개념의 이동수단이 개발이 필요했고, 네 바퀴 또는 세 바퀴 초소형 전기차 개발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실제 초소형 전기차 개발은 활발하다. 르노삼성의 모기업인 르노가 선보인 트위지를 비롯해 토요타 아이로드, 폭스바겐 닐스, GM 레이크 등이 주목받고 있다. 거대 자동차회사마다 미래 이동 수단을 적극 육성, 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차원이다. 이외 한국처럼 일부 중소기업도 새로운 시장에 뛰어들 준비를 갖추는 중이다. 관심은 국내 초소형 전기차가 완성차 판매에 영향을 미치느냐에 쏠려 있다. 우리보다 앞서 초소형 전기차를 도입한 프랑스 파리의 경우 해당 제품의 등장과 카쉐어링 이용자 증가로 가구당 승용차 보유비율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 이른바 초소형 전기차가 이동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는 얘기다.
프랑스 사례에 비춰 한국도 가구당 자동차 보유율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신한투자증권 자동차부문 최중혁 애널리스트는 "가격이 관건이겠지만 완성차 판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세컨드카 역할이 대부분인 경차 시장이 흔들릴 수있다"고내다봤다. 이 경우 경차 시장을 양분한 기아차와 한국지엠의 경쟁자가 새롭게 출현하는 셈이다. 하지만 기아차와 쉐보레도 EV 경차를 보유한 만큼 소비패턴 변화를 쉽게 예측하란 쉽지 않다는 점도 덧붙였다. 그럼에도 전통적인 승용차를 벗어난 다양한 이동수단 등장이 완성차 판매에 미칠 직간접적 영향은 무시할 수 없으리란 예측이다. 최중혁 애널리스트는 "그물처럼 엮인 광역 교통망, 그리고 대중교통의 편리함이 지속될수록 자동차 소유욕은 떨어질 것"이라며 "초소형 전기차는 이동 수단의 다양화라는 측면에서 완성차에 영향을 주는 또 하나의 요소가 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정부는 초소형 전기차 개발과 더불어 국내 법제도 개선에도 착수했다. 초소형 전기차의 법적정의와 안전규정, 그리고 보조금 등 지원제도를 산·학·연·관 전문위원회 연구를 통해 정할 방침이다. 자동차 안전규정을 모두 적용할 경우 초소형 전기차가 가지는 장점을 모두 잃게 되며, 반대의 경우는 저품질, 저가형 모델의 시장 난입으로 탑승자 안전과 권익을 해칠 수 있는 만큼 충분히 검토한 뒤 관련 세미나 등으로 합리적 방안을 도출한다는 복안이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디젤차, 운행 중 배출가스 측정 도입...퇴출차 나올까▶ 튜닝 부품 국산화에 정부가 팔 걷고 나서▶ 자동차용 경량 강판, 일본 기업 특허 출원 많아▶ EV 시대 앞서 PHEV가 뜬다...한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