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Talk] 미래를 여행하는 디자이너, 앙드레 쿠레주

입력 2014-07-21 08:43
[최원희 기자] 디자인에 대해 관심이 많은 이들이라면 1960년대의 미니멀리즘을 대변하는 디자이너 앙드레 쿠레주의 이름을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이 전에 유행하던 성숙한 패션계에 과감하게 짧은 미니 스커트를 내놓으며 60년대 혁명가로 불리우는 디자이너 앙드레 쿠레주는 무릎 길이의 양말, 플랫 슈즈, 흰 장갑 등으로 대변된다.실용적인 감각과 더불어 미래지향적인 그의 감각은 역동적이면서도 새로웠다.특히 미성숙한 소녀의 이미지를 연출하는 모델들이 언더웨어를 착용하지 않고, 두꺼운 소재로 된 재킷, 고고 부츠, 고글 등의 착용하며 보여준 파격적인 모던함을 담은 디자인은 호응과 동시에 비판을 받으며 많은 이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고 있다. 1923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44년에 비행기 조종사로 활동했던 쿠레주는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파리의상조합학원에서 패션 공부를 시작하면서 패션계에 접어들었다.당시 유명 꾸띄리에였던 쟌느 라포리(Jeanne lafaurie)의 디자이너로 경력을 쌓고, 약 10년 여간 발렌시아가 아래에서 재단사로 수련한 그는 61년 패션하우스 메종 드 쿠레주를 설립하며 독립했다.비행기 조종사의 환상이 있었던 것일까. 쿠레주는 짧은 길이의 스커트, 최고급 소재와 수공예적 테크닉을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의상을 발표하며 ‘미니스커트의 아버지’로 인정 받았다.하지만 쿠레주는 65년, 단 2년 만에 브랜드를 철수한다. 장인 정신이 없는 수많은 카피를 인정할 수 없었던 것. 쿠레주룩, 스페이스룩, 문걸룩 등 쿠레주의 디자인을 수식하는 어구는 무수히 많다. 미니멀한 스탠딩 컬러, 스트라이프 패턴, 대담한 진동 둘레, 다트가 없는 디자인 등 이전과는 다른 과감한 기술들을 이용한 색다른 실루엣은신선함을 가져다 주었고, 이는 곧대중에게까지 빠르게 퍼져나가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명성은 프랭크 시네트라의 딸인 낸시 시네트라의 ‘These Boots Were Made For Walking’ 곡이 히트를 치며 더욱 널리 퍼져 나갔다. 앨범 속 PVC 소재의 고고 부츠가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60년대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스트라이프, 체크 패턴, 개기 일식 안경 등의 모던한 패턴을 이용해 미니멀리즘 시대의 도래를 알린 쿠레주는 재클린 케네디, 리 래즈웰 공주, 프랑수아즈 아르디, 트위기 등 당대 최고의 아이콘들을 고객으로 두며 명성을 과시했다.공백기의 2년 후인 67년 ‘쿠튀르 퓌튀르’의 기성복 라인을 비롯 보디 수트 스타일의 콜랑을 발표하며 다시 활동을 시작하지만 예년의 명성을 회복하지는 못하였다. 이 후에도 향수, 가방, 신발 등의 토털 기업으로 성장하며 도전적인 디자인을 선보인 그는 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예술 활동에 미니멀한 감성을 풀어내고 있다. 단기간이라고 볼 수 있는 기간 동안 이브 생 로랑, 소니아 리키엘 등 수많은 디자인의 거장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고 있는 디자이너 앙드레 쿠레주. 미래지향적인 감각과 스포티즘을 바탕으로 꾸준히 꾸띄르적인 컬렉션을 선보이고 있는 브랜드의 행보에 귀추를 주목해본다. (사진출처: 앙드레 쿠레주 및 낸시 시나트라 공식 홈페이지, 윌리엄 클라인 페이스북, 보그 파리 홈페이지 캡처)bnt뉴스 기사제보 fashion@bntnews.co.kr▶ “임박! 휴가” 스타일링은 어떻게?▶ [트렌드&] “윤리적 패션이 뜬다”▶ 피서지에서 뭘 신을까, 여름철 머스트해브 슈즈▶ 호텔킹 이동욱을 통해 알아보는 수트 스타일링 포인트▶ 때론 모델처럼, 때론 연예인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