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차, "급속 충전 국제기준 맞출 수 있어"

입력 2013-11-14 14:41
수정 2013-11-14 14:41
교류 3상 방식을 택한 르노삼성차의 급속 충전 시스템이 향후 세계 표준에 따라 바뀔 수도 있을 전망이다. 12일 르노삼성차에 따르면 현재 전기차 충전은 크게 직류 전기를 이용한 급속 충전과 교류 전기를 이용한 완속 충전이 병행된다.충전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완속은 어떤 전기차든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어 문제가 없는 데다가정용 전기로도 충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급속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먼저 '차데모(CHAdeMo)' 방식은 일본 도쿄전력이 개발한 급속충전기 규격으로 일본 내에선 충전기 통일 규격으로 이미 활용되고 있다. 충전을 뜻하는 '차지(charge)'와 이동을 의미하는 '무브(move)'를 결합한 말이다. 국산차 중에서는 가장 먼저 전기차 개발을 시도했던 현대기아차가차데모 충전을 이용해왔다. 차데모는 직류용과 교류용 충전구가 분리된 형태적 특징을 갖고 있다. 유럽과 미국 쪽에서는 콤보 방식에 주력하고 있다. 충전이 하나의 충전구로 돼 있는 게장점으로 꼽힌다. 분류는 콤보1과콤보2 방식이 사용되며,차이는 충전핀의 개수다. 콤보1은 5핀, 콤보2는 7핀으로 이뤄져 있다.이 가운데 미국 쪽은 콤보1을 선호한다. 쉐보레 스파크 EV가 여기에 해당된다.반면 유럽의 경우 콤보2 방식을 선호한다. BMW가 내놓은 순수 전기차 i3가 대표적이다.그러나 i3는 북미에도 판매될 예정이어서국내 출시될 i3는 북미 판매용인 콤보1이 장착될 예정이다.







르노삼성차 SM3 Z.E.는 교류(AC) 3상 방식을 쓴다. 완속 충전에도 이용되는 교류 전원을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밖에 벤츠나 볼보도 교류 3상을 급속 충전 방식으로 채택할 전망이다. 충전 효율이 높다는 게 장점이다.하지만 이렇게 세 갈래로 나뉜 충전 방식이 오히려 전기차 인프라 구축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각 방식에 따라 충전기를 따로 설치하면시설 중복 투자가 우려되기 때문이다.따라서 충전 방식 통일에 대한 업계 논의가 현재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다만 어떤표준을 두고제조사마다 전략이 달라 향후 상당한 진통이 불가피하다.표준으로 채택되지 못하면 개발 비용 상승을 피할 수 없어서다.현재 국내에서도3가지 급속 충전이모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체 표준으로 인정된 방식은 차데모가 유일하다. 교류 3상은 KS 규격이다. 하지만 콤보는 국내 소개가 늦은 탓에 단체 표준에도 KS 규격에도 포함되지 못했다. 따라서 내년부터 국내에 보급되는 급속 충전기는 차데모 및교류 3상용 포트를 동시에 지원될예정이며, 콤보 충전을 선택한 한국지엠은 자체적인 개별 보급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하지만 현재 검토되는국제 충전 표준 방식은콤보라는 점이다.전기차 시장성이 높은 미국과 유럽 다수 제조사가콤보를 선호하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현대기아차는 내년 북미 시장에 투입될 전기차의 급속 충전 방식으로 콤보를 적용할 계획이다. 국제 표준으로 콤보가 정해지면국내 급속 충전 인프라 역시 콤보를 주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지엠이나 BMW가 충전 인프라 보급에 느긋한 이유다. 이에 따라 교류 3상을 고수하고 있는 르노삼성차는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르노삼성차는 일단 교류 3상을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이미 교류 3상에 대한 국내 인프라 구축 계획이 세워져 있는 상태여서다.또한 국제 표준이 정해지려면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점도 입장 유지의 배경이다.하지만 콤보로 정해진다면 충전 방식 전환도 염두에 두고 있다.시장 대응을 위해선 통일된 방식을 따르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이와 관련, 르노삼성 관계자는 "급속 충전에 대한 국제 표준은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르노 그룹의 기본 방침은 교류 3상의 유지"라며 "하지만국제 표준에 따라 전략은 얼마든지수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어"현재 교류 3상을 사용한다고국제 표준을 거스를 수는 없을 것"이라며 "충분히 유연성을 가지고 시장에 대응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콤보 방식이 국제 급속 충전 표준으로 정해지기 위해선 현재 콤보1과 2로 나뉜 방식을 하나로통일하는 것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뒤따르고 있다.또한잠재 시장성이 북미보다 높은 중국이 어떤 충전 방식을 택하느냐도 관심거리다.박진우 기자 kuhiro@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