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정 기자] 새해를 맞은 구직자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스펙 쌓기에 열중하는 모습들이다.이와관련,현재 직장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직장인들의 말을 들어보면 “실제 직장생활을 해 보면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스펙도 많다”고 말한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직장인 490명을 대상으로 스펙에 관해 설문조사한 결과, 많은 직장인들이 직장생활을 하면서 가장 도움이 되지 않는 스펙으로 ‘석·박사 이상의 고학력’(24.7%)이라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 공인어학성적(20.4%), 사회경험(19.4%), 학벌(16.7%) 순으로 집계됐으며,뒤이어 학점(9.6%), 자격증(4.9%), 인턴 경력(4.3%) 등으로 나타났다.이는 사회생활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스펙은 따로 있다는 말과도 일맥상통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스펙이 직장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까닭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많은 직장인들이 ‘채용 시에만 필요하고 실무에 활용도가 낮다’(39.8%) 또는 ‘개인의 능력, 역량과는 별 상관이 없다’(31.2%)고 밝혔다. 또한 ‘스펙과 실력의 상관관계’에 의문을 제기하는 직장인들도 많았으며 ‘이론과 실전의 차이가 크다’(18.0%)는 의견도 있었다. 그밖에 ‘아예 채용과정에서 영향력이 없다’(11.0%)는 이유도 있었다.한편 상당수의 직장인들이 채용이 지나치게 스펙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89.2%)고 동의했다. 이는 채용과정에서 평가기준으로만 쓰이고 실제 업무현장에선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스펙이 많은 것을 이유로 들 수 있다. 최근 수치화된 스펙을 벗어나 지원자의 역량을 판단하려는 기업이 늘어나는 것도 이 같은 이유일 것이다.한경닷컴 bnt뉴스기사제보 life@bntnews.co.kr ▶ '최면 다이어트' 요요현상 없애고, 성공률 ↑ ▶ 발렌타인 데이, 그의 마음을 잡고 싶으세요? ▶ 2011년, 새해소망 1위는? 다이어트-금연-로또▶ 美의 기준이 바뀐다, 2011년 '성형' 트렌드는? ▶ 소셜커머스 90% ‘파격할인’… 싹쓰리닷컴 창고 대방출! ▶[정품이벤트] 홈케어도 전문가처럼! 이지함 화장품 '더마 스킨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