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세일페스타에 대한 지적들과 산업부의 설명 추가.>>작년보다 매출 10%↑…산업부 "태풍·작년 기저효과에도 소비진작 효과"관련 행사 없었던 2014년보다 36% 증가… 中 관광객 매출 효과 컸다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9일까지 진행된 코리아세일페스타 대규모 특별할인기간에 참여한 업체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취지의 행사인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보다 10%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서 판을 만든 행사치곤 두 자릿수를 간신히 넘긴매출 증가세를 기대 이하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소비가 늘었다기보단 나중에 살 것을 미리 앞당긴 것이라 오히려 연말에 지갑이 얼어붙는 '소비절벽' 현상이 나타날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코리아세일페스타에 참여한 주요 유통업체 54개를 대상으로매출 실적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10월 1∼11일)보다 10.1%늘었다고 13일 밝혔다. 이런 행사가 없었던 2014년(10월 2∼12일)과 비교하면 35.8%증가했다.
이번 행사로 가장 크게 웃은 것은 면세점이다.
중국 국경절(10월 1∼7일)을 맞아 중국인 관광객이 대거 한국을 찾으면서 면세점 매출은 지난해보다 29.5% 늘었다.
이 기간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58만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5.6% 늘었다. 이 가운데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28만명이 중국인 관광객이었다.
5대 백화점 매출은 전년보다 8.7%, 행사가 없었던 2014년보다는 29.8% 늘었다.
다만, 행사 시작 당시 쇼핑객들로 북적였던 것과 달리 점점 발길이 줄면서 증가율은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산업부는 "태풍 '차바' 등 기후의 영향으로 쇼핑객의 방문이 줄고, 롯데·신세계·현대 등 주요 백화점이 할인 기간을 16일까지로 연장하면서 소비가 분산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태풍 '차바'의 영향권에 든 3일간(10월 4∼6일)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9.3%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가전 매출이 48.7% 급증했지만, 전체 매출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의류·패션은 행사 기간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4.9% 증가에 그쳤다.
행사 참여업체가 지난해 16개에서 올해 106개로 대폭 늘어난 온라인 쇼핑몰 매출은 12.3% 늘었다.
특히 평일(10월 4∼7일) 요일별로 4개 부문에서 추가 할인을 시행한 '사이버 핫데이즈'(Cyber Hot days) 기간 매출 증가율은 29.6%에 달했다.
대형마트, 가전 전문점, 편의점 매출은 각각 1.6%, 5.7%, 15.8% 늘었다.
전통시장은 정확한 매출 집계가 어렵지만, 중소기업청에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4.4%가 전년보다 매출이 늘었다고 답했다. 평균 매출액 증가 폭은 18.5%로조사됐다.
산업부는 "태풍 등 기상요인과 지난해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의 기저효과에도주요 참여업체의 매출이 전반적으로 증가해 소비 진작에 일정 부분 효과가 있었다"며 "특히 쇼핑뿐만 아니라 문화와 관광행사가 함께 개최되면서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늘어 외국인 대상 매출이 대폭 증가한 것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코리아세일페스타를 바라보는 시선이 고운 것만은 아니다.
정부가 내수를 진작하겠다며 업체들을 독려해 판을 벌인 것에 비해 매출 증가율은 간신히 두 자리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매출 증가율이 전년보다 20%가량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실망스러운 수치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해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를 시행하면서 워낙 매출이 많이 올랐던 데다가 현재 소비심리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때보다 더 좋지않은 점을 고려하면 두 자리 매출은 의미가 있다"며 "2014년과 비교하면 매출액이대폭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행사가 실제 소비를 늘렸다기보다는 앞으로 쓸 것을 미리 당긴 것뿐이라는지적도 있다.
일반적으로 소비가 늘어나는 연말에 오히려 지갑이 더 닫히는 '소비절벽'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대형마트의 경우 다음 달에 살 것을 이번 달에 미리 사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지만, 애초 이 행사는 지금 당장 물건을 살 의향이 없었는데 숨어있는 소비심리를 끌어내는 효과를 기대하고 마련한 것"이라며 "행사로 인해 소비절벽이 온다고 생각하진 않는다"고 강조했다.
<표> 주요 참여업체의 업태별 매출액 증가율┌───────┬─────────────────┬───────────┐│ 업태 │ 조사업체 │ 증가율││ │ ├─────┬─────┤│ │ │‘15년대비│‘14년대비││ │ │ │ │├───────┼─────────────────┼─────┼─────┤│ 백화점(5) │롯데, 신세계, 현대, 갤러리아, AK │ 8.7% │ 29.8% │├───────┼─────────────────┼─────┼─────┤│ 대형마트(4)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하나로│ 1.6% │ 4.2% ││ │마트 │ ││├───────┼─────────────────┼─────┼─────┤│온라인쇼핑(28)│11번가, 이베이코리아, 인터파크, 위│ 12.3% │ 71.3%││ │메프, 티켓몬스터, 쿠팡 등 │ │ │├───────┼─────────────────┼─────┼─────┤│ 면세점(9) │롯데, 신라, 신세계, JDC, 동화, 갤 │ 29.5% │ 46.9% ││ │러리아, HDC신라, SM, 두타 │ ││├───────┼─────────────────┼─────┼─────┤│가전전문점(4) │삼성디지털플라자, LG베스트샵, 하이│ 5.7% │ 29.4%││ │마트, 전자랜드 │ │ │├───────┼─────────────────┼─────┼─────┤│ 편의점(4) │CU, GS25,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 15.8% │ 52.8% │├───────┼─────────────────┼─────┼─────┤│ 전체(54) │ │ 10.1% │ 35.8% │└───────┴─────────────────┴─────┴─────┘ eu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