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부회장의 삼성SDS 일부 지분 매각 사실 추가>>그룹측 부인에도 삼성전자 지배력 강화 위해 지주사 유리생명 중심 금융축, 전자·통합물산 중심 사업축으로 재편
삼성생명[032830]이 삼성전자[005930]가 보유한삼성카드[029780] 지분 37.45%를 전량 인수하기로 함에 따라 삼성생명의 금융지주전환 가능성과 함께 향후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재편 작업이 어떻게 진행될지 귀추가주목된다.
28일 재계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이번 지분 인수를 통해 삼성카드 지분 71.68%를 보유하게 돼 일약 최대주주로 올라서게 된다.
삼성생명 측은 "보험과 카드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지분인수 배경을 설명했으나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삼성생명의 금융지주 전환을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에 무게를 싣고 있다.
금융지주회사가 되려면 자회사 지분요건(30% 이상)을 갖추고 1대 주주 지위를유지해야 한다.
삼성생명은 삼성카드 최대주주가 되면서 이런 조건을 충족하게 됐다.
국회에는 현재 중간지주회사법 개정안(공정거래법)이 계류돼 있다. 이 법이 통과되면 금융자회사를 거느린 중간지주회사 설립이 가능해진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아직 법안이 통과되지 않은 상황에서 금융지주 전환에 관해언급하는 것은 섣부르다"며 선을 그었다.
◇ 지배구조 단순화…전자·금융 양대축으로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삼성생명의 중간금융지주 전환은 결국 지배구조의 단순화를통해 '금융은 삼성생명 중심으로, 전자 등 사업부문 주력은 전자와 통합삼성물산[028260] 중심으로 모은다'는 전략이 깔린 것으로 해석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그룹 전체로 보면 증권·카드·보험 등 금융은 생명의우산 아래에 들어가고 나머지 사업주력부문은 삼성전자 아래로 들어가되 궁극적으로는 통합삼성물산과 삼성전자의 합병을 통해 주식회사 삼성홀딩스를 만드는 지주회사전환 시나리오의 그림을 그려볼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은 중간지주회사법의 통과 여부에 따라 두 가지 선택이 가능하다는 관측도나온다.
법이 통과되지 않더라도 금융계열사를 삼성생명 중심으로 모아둠으로써 관리의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법이 통과된다면 삼성생명을 금융지주회사로 출범시킨 뒤 장기적으로는 통합삼성물산과 합치는 방안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와함께 통합 삼성물산이 가진 삼성생명 지분 19.3%와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 7.2%를 어떤 형태로든 정리하는 것이 삼성 입장에서는 유리하다. 금산분리 요구와 보험업법 개정 등 미래의 변수에 대응할 지배구조 단순화 작업이 필요한이유이기도 하다.
◇ 핵심은 삼성전자에 대한 지배력…지주사의 마법 통할까 삼성 지배구조 재편의 핵심은 사실상 그룹을 이끌고 가는 계열사인 삼성전자에대한 지배력을 어떻게 강화할 것인지로 모아진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삼성전자 지분을 0.6%밖에 갖고 있지 않다. 하지만지난해 통합삼성물산이 출범함으로써 통합법인의 최대주주인 이 부회장은 통합삼성물산이 가진 삼성전자 지분 4.1%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올랐다.
여기다 이건희 회장이 3.4%의 삼성전자 지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오너 일가가삼성전자에 대해 갖고 있는 직·간접적 지배력은 약 8% 정도까지로 해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여전히 확고하게 흔들리지 않는 삼성전자에 대한 지배력을 구축했다고평가하기는 어렵다.
삼성 측의 부인에도 지주회사 전환 시나리오가 끊임없이 제기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재용 부회장 체제의 안착도 결국 안정적인 지배구조의 구축 여부가 관건이 될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삼성그룹 측은 지주회사 전환에 수십조원의 재원이 요구되기 때문에 원천적으로불가능하다는 입장도 나타낸 적이 있다.
반면 삼성생명의 금융지주 전환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삼성의 '마지막 선택지'는주식회사 삼성홀딩스라는 지주회사 아니겠느냐는 관측도 힘을 얻고 있다.
지주회사 전환 작업은 크게 삼성전자의 인적분할, 이후 삼성전자 투자부문 회사(홀딩스)와 통합삼성물산 간의 합병이라는 과정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지주사 전환은 삼성전자가 투자회사와 사업회사로 분할하고 전자홀딩스(투자회사)가 신주를 발행하면 특수관계인 및 그룹 계열사가 사업부문 주식을 현물로 출자해 주식 스와프(지분교환)를 하는 복잡한 과정이 뒤따라야만 한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삼성전자 투자회사와 사업회사의 분할 비율을 2대 8, 통합삼성물산과 삼성전자 투자회사의 합병비율을 1대 3 정도로 추정하기도 한다.
이 부회장의 삼성전자 지분은 통합삼성물산과 삼성전자 홀딩스의 합병 이후 7~8%까지 급증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흔히 '지주사의 마법'으로 불리는 자사주의 의결권 부활이 향후 재편 과정에서어떤 지렛대 역할을 할지도 관심을 끈다.
아울러 삼성전자의 액면분할 가능성이 언급된 점도 의미가 있다. 액면분할은 비싼 주식의 주가를 단기에 부양하는 효과를 낸다. 또한 지주회사 전환과정에서 분할된 삼성전자 사업회사 주가의 상승은 오너 일가에 지분율을 올려주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 삼성SDS 합병보다는 주식 스와프가 현실적 삼성그룹의 향후 남은 지배구조 재편 과정으로 꼽히는 것이 삼성전자와 삼성SDS의 합병 가능성이다.
이 부회장이 삼성SDS 지분을 통해 삼성전자 지분율을 늘리려면 합병이 가장 쉬운 방법이기 때문이라는 해석이다.
이른바 원샷법으로 불리는 기업활력제고특별법안이 삼성SDS 합병 논란과 맞물리는 대목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원샷법의 적용을 받으려면 삼성SDS 시가총액이 삼성전자 시가총액 10분의 1 이하로 떨어져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합병비율상합병을 해도 오너 일가에 별 실익이 없어진다"면서 "또 삼성전자 주주 25%가 반대하면 원샷법 적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도 낮다"고 말했다.
대신 오너 일가가 가진 삼성SDS 지분을 현물출자 형태로 내놓고 삼성전자 주식과 현물교환(스와프)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이 부회장이 이날 삼성엔지니어링 증자 참여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자신이 보유한 삼성SDS 지분 2.05%를 매각하기로 한 점도 금융투자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로써 이 부회장의 삼성SDS 지분율은 11.3%에서 9.3%로 낮아지게 된다. 만일삼성전자와 삼성SDS의 합병을 추진해야 한다면 이 부회장이 삼성SDS 지분을 팔지 않는 것이 상식적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도 여러 번 부인했지만 삼성SDS와의 합병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말했다.
oakchu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