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신 약속 지켜졌나" 의구심, 흔들리는 위상 여전
경제계 맏형인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허창수 회장의 3기 체제를 맞았다. Ɖ기 허창수 체제의 전경련'을 바라보는 안팎의 시선에는기대와 실망이 엇갈리고 있다.
전경련은 10일 정기총회에서 허창수 현 회장을 차기 회장으로 재선임하는 한편이장한 종근당 회장을 전경련 부회장으로 신규 선임했다.
재계 서열은 떨어지지만 업종 대표성, 총수로서 명망, 기업의 역사성 등을 따져이 회장을 추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후보로 거론됐던 이중근 부영 회장, 장형진 영풍그룹 회장,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등의 회장단 합류가 무산됐다. 또 2∼3명선으로 알려졌던 회장단 보강의 폭도 1명으로 줄었다.
현재현 전 동양그룹 회장과 강덕수 전 STX 회장의 사임으로 공석이었던 두자리중 한자리밖에 채우지 못한 셈이다.
이로써 전경련 회장단은 기존 21명에서 20명으로 줄어들게 됐다.
재계를 대표한다는 전경련 회장단의 흔들리는 위상은 회장단 수의 감소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활동할 총수들이 줄고 있는 상황에서도 확인된다. 이건희 삼성 회장, 구본무 LG 회장, 최태원 SK 회장 등 4대 그룹 회장이 신변상·개인적인 이유로회장단 활동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승연 한화 회장은 집행유예 상태이고 박용만 회장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어서 회의 참석이 어렵다. 회장단의 절반가량이 사실상 유고상태이다.
이는 전경련의 차기 체제에 큰 기대가 걸리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전경련 회장으로서 지난 4년간 허 회장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재계의 높은신망을 바탕으로 정부의 경제민주화 및 규제압박에 맞서 재계를 무난하게 이끌었다는 평가가 있는 반면 '식물단체가 됐다'는 지적이 제기될 정도로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
특히 대기업의 이해만을 대변하는 단체로서 이미지를 벗겠다며 쇄신을 선언한이후 1년여를 허송세월하지 않았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전경련은 2013년 11월 7개월간의 발전특별위원회 논의를 통해 회원사 문턱을 낮추고 회장단의 범위를 50대 기업집단 총수로 넓혀 추가 영입키로 하는 등 사업·조직 개편에 착수했다.
당시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급부상한 경제민주화, 동반성장 등 시대 논리에전경련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서 재계 안팎에서 전경련 '무용론', '해체론'이 비등했던 상황이었다.
회장단의 상당수가 기업 위기, 또는 구속수감 등으로 활동이 불가능했던 점도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전경련이 자발적인 쇄신에 나설 수밖에 없게 만든 요인이었다.
하지만 1년3개월이 되도록 별다른 변화 없이 한 명의 부회장도 추가 영입하지못한 채 허창수 회장의 2기 임기가 다 돼서도 대안을 찾지 못한 채 또다시 연장하는수준에 그치고 말았다.
전경련 회원사를 대기업 위주에서 중견·벤처기업으로, 생산·금융업 위주에서서비스업과 엔터테인먼트업으로 확장하며 문턱을 크게 낮춘 것은 긍정적이지만 수뇌부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서로 수장되기를 미루는 집단에 힘이 실리고 성과를 내기는힘들 것"이라며 "전경련 회장단 진입에 대한 높은 장벽 때문에 스스로 위상 약화를초래했다"고 말했다.
최근의 부회장 인선 과정에서도 거론됐던 후보들에 대해 부회장직 제안에 적극적이지 않았고 부회장을 맡겠다고 나서는 인사도 나타나지 않아 난항을 겪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 영입 후보로 거론되던 한 그룹 회장의 측근은 "실제로는 아무런 제안도 없었다"고 말했다.
참석률이 극히 저조했던 회장단 회의는 아예 비공개로 바뀌어 개회 여부를 모르는 지경에 이르렀다. 국가경제 현안에 대해 재계의 입장을 밝히는 자리이기도 했었으나 어느 순간부터 회장단 회의는 '총수들의 소규모 친목 모임'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전경련 관계자는 "여전히 격월로 회장단 회의가 열리고 있지만 회장단중 현재절반 정도만 참석이 가능하고 실제 참석은 6∼7명 정도만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전경련은 여전히 각종 규제, 법인세 현안 등에서 대기업의 이해관계에서 한치도앞서나가지 못한 채 반대만 하는 단체로 인식돼 있다. 경제민주화 요구에 반대 목소리를 내며 규제개혁, 기업활력에 대한 주장을 펼쳤지만 양극화 해소를 위한 재계의노력은 찾아보기 어려웠다는게 중평이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최근 부상한 법인세 인상 논쟁에서 보듯 전경련은 으레정치권 눈치를 보며 반대 논리만 내놓고 있다"며 "국민과 국가 경제를 아우르는 시각을 갖지 않고서는 다시 전경련 무용론이 대두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경련 사무국 역시 재계와 국민의 쇄신 요구를 실행하지 못하고 각종 경제현안에 대해 '뒷북'만을 치면서 '절간같은' 연구소 조직이 되지 않았는지 되돌아봐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3기 체제를 이끄는 허 회장이 다시 한번 쇄신을 다짐한데서 재계 총본산으로서역할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허 회장은 취임사를 통해 "국민과 기업 모두가 행복한 나라를 만드는데 최선을다하겠다"며 "새롭게 시작되는 2년의 임기동안 미래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육성하는데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허 회장이 재계의 높은 신망을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온건하게 전경련을 이끌면서 국민이 기업들에 대해 느끼는 상실감과 반감을 치유하고 국민경제 현안에 이전과는 다른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그래서 나오고 있다.
jooh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