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유국시장 수출 침체, 미국 시장에서는 위축 양상미국 독일 일본 등 빅3 체제 강화될 듯
국내 자동차업계가 '저유가의 덫'에 빠져들고있다.
중동과 러시아 등 산유국에서는 수출과 판매 부진을 겪고 있는데다, 세계 최대자동차 시장인 미국에서는 저유가 특수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소외된 양상이다.
반면, 미국 업체는 저유가 덕을 톡톡히 누리고 있다. 자국의 자동차 판매가 크게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경쟁력을 회복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세계 자동차 시장이 미국과 독일, 일본업체 3강 체제로 한층 강화될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3강 체제가 공고화되면 국내 업체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하락할 수밖에 없다.
◇ 미국시장에서 맥 못 추는 현대·기아차 6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저유가로 자동차 수요가 살아나는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기아차[000270]는 좀처럼 기를 펴지 못하고 있다.
유가 하락으로 픽업트럭과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중심으로 판매가 늘어나고 있지만, 현대·기아차는 소형 트럭에 대한 라인업 부족과 신차 부재 등으로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올해 1월 미국시장에서 현대차[005380]와 기아차의 판매량은 작년 동기 대비 1.
1%와 3.5% 늘어나는데 그쳐 미국 시장의 평균 판매 증가율인 13.7%에 한참 뒤졌다.
기아차는 올 뉴 카니발을 앞세워 그나마 선전했지만, 현대차는 마땅한 신차가없어 점유율을 내줬다. 증권업계에서는 올해 현대차의 미국시장 성장률을 0%로 전망하고 있다.
무엇보다 주력 차종의 판매가 줄어드는 점이 문제다. 1월 현대차의 쏘나타 판매량은 1만2천363대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26% 늘었지만, 전달보다는 30%가량 줄었다.
엘란트라(한국명 아반떼)도 하반기 신차 출시가 예정되면서 지난달 1만954대가팔리는데 그쳐 작년 1월보다는 16%, 전달보다는 26% 각각 감소했다. 기름 값이 한참떨어진 탓에 소형차와 중형차에 대한 수요가 줄고 있어 당분간 이들 차종의 판매 부진은 계속될 전망이다.
유가하락으로 친환경 차에 대한 수요도 줄고 있다.
미국 자동차전문지 워즈오토에 따르면 1월 미국 시장에서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등 친환경차는 3만1천300대가 판매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 감소했다. 현대·기아차의 친환경차 판매량은 1천700대로 작년 1월보다 20%가량 급감했다. 도요타는 1만8천대로 1% 감소하는데 그쳤다.
◇ 산유국 수출 '빨간불' 저유가로 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는 산유국으로의 수출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1∼20일 기준으로 러시아를 포함한 CIS(독립국가연합)로의 자동차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79.6%나 감소했다. 중동지역의 수출도 24.7% 줄었다.
유럽 등 다른 국가들도 경기부진에 따른 수요 위축이 유가 하락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을 상쇄하면서 자동차 수요 확대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 유럽연합(EU) 수출도 27.9%, 중남미는 43.4%, 중국은 43.9% 감소하는 등 대부분 지역에서 두자릿수의 감소폭을 보였다.
특히 러시아 수출 의존도가 높은 쌍용차[003620]의 경우 1월 수출은 작년 같은기간 대비 43.4%나 줄었다.
쌍용차 관계자는 "러시아 루블화 가치 급락에 대응하기 위해 러시아로 수출하는물량을 줄였다"면서 "러시아를 제외한 신흥시장과 유럽시장 대응을 한층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루불화 약세로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23.0%나 감소한 기아차도 러시아로의 수출 물량을 일부 줄이고, 러시아 물량을 다른 지역으로 돌리는등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 도요타·폴크스바겐·GM, Ɖ강 체제' 강화될 듯 국내 자동차업체가 저유가 후폭풍에 시달리는 가운데 미국과 독일, 일본업체의경쟁력은 강화돼 Ɖ강 체제'가 공고히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미 업계 1위인 일본 도요타는 엔저라는 돛을 달고 순항 중이다. 독일의 폴크스바겐도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미국의 GM은 저유가로체력을 다시 회복하며 선두 경쟁에 뛰어들었다. 세계 5위인 현대·기아차가 시장 점유율을 늘리기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다.
자동차산업연구소 관계자는 "유가 하락이 자동차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별,국가별로 차이가 있어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다"면서 "그러나 무엇보다 근본적으로는 안정성과 연비 등 제품의 기본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fusionjc@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