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관을 그만두고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로 이직하는 이들은 몇 명이나 될까.
통상·교섭 기능을 외교부에서 산업통상자원부로 넘기는 것 때문에 관가가 시끄러웠던 만큼 이직자의 수에도 관심이 쏠렸다.
외교 분야의 인재 확보에 통상·교섭의 미래가 걸렸다는 전망도 나온 만큼 이는업무 공백 우려를 가늠하고 전문가 배치 상황을 파악하는 실마리다.
이런 분위기를 의식한 듯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오는 이를 최대한 예우한다'고 공언했고 손수 전화를 하며 영입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부는 대통령 업무보고에 앞선 브리핑에서 최경림 통상교섭대표를 차관보로영입할 계획이고 이는 보도 유예(엠바고) 없이 즉시 기사화해도 된다고 적극성을 보였다.
하지만 인사 부서의 생각은 전혀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 소개는 고사하고 산업부로 옮겨온 외교관 수도 공개하지 않았다.
업무 이관으로 정원 94명이 증가한다고 했지만, 외교관에서 일반 공무원으로 전환하는 이들의 수를 밝히지 않았다.
인사 관련 내용은 비밀이라는 것이다.
기자가 원한 것은 개인 신상정보가 아니다.
공직자 구성을 살펴볼 최소한의 정보라고 거듭 요청했지만 거부했다.
과장급 이상 인사를 단행하거나 훈·포장 수상자의 발표할 때 실명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한 것과는 대비된다.
공공기관의 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은 공공기관이 지닌 정보를 원칙적으로 공개대상으로 규정하고 예외적으로 비공개를 인정한다.
인사에 관한 정보는 공정한 업무 수행 등에 분명한 지장을 줄 우려가 있어야 비공개 대상이다.
숫자를 알려주면 업무에 방해된다고 판단한 것인지, 만약 그렇다면 이유가 뭔지이해하기 어려웠다.
외교관 수가 기대에 못 미쳐 실망했는지, 인적 구성이 알려지면 비판이 제기될까 우려했는지 이런저런 추측을 할 뿐이다.
산업부 외의 경로로 확인하니 외교관직을 포기하고 이직한 이들은 17명이었다.
많고 적음을 떠나 기자는 힘든 결정을 내린 이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몸담았던 조직을 떠나 낯선 분위기에 적응하는 게 쉽지는 않을 것이다.
외교부는 서울에 남지만 산업부는 연말에 세종시로 옮겨야 한다는 것도 이들을고뇌하게 했을 것이다.
근거가 모호한 '비밀주의'가 낯선 곳에 투신한 이들의 사기를 꺾지 않기 바란다.
sewonle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