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산업도 '블록체인 혁신' 온다…활용방안 모색해야"

입력 2016-12-26 14:00
블록체인 기술이 확대되면 보험산업에서도 큰변화가 올 수 있으므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고려대 인호 교수는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보험연구원과 김성태국회의원실이 공동 주최한 '제4차 산업혁명과 인슈어테크 혁신: 블록체인이 보험업계의 미래다' 토론회에서 이렇게 밝혔다.



블록체인이란 정보분산을 통한 금융보안기술을 말한다.



P2P 네트워크를 통해 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이들이 정보를 암호화해 독립적으로 저장·공유하도록 설계된 일종의 분산형 장부다.



인 교수는 "해커가 이 거래장부를 위·변조하려면 최고 성능의 슈퍼컴퓨터 500대 이상을 동원해 전 세계의 모든 노드(네트워크 참여자)를 동시에 공격해야 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블록체인은 데이터와 자산 거래의 신뢰성을 제공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중간의 '신뢰 담당자' 없이 블록체인 위에서 거래할 수 있는 '스마트계약'이 가능해진다고 인 교수는 덧붙였다.



그는 스마트 계약으로 사장·직원 없는 가상회사가 대기업과 경쟁할 것이라는예측을 소개하며 "글로벌 대형 보험회사는 지고, P2P 가상 보험회사가 뜨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각 개인이 크라우드펀딩처럼 보험료를 모아 블록체인에 저장해 놓으면 보험회사와 같은 중간자 없이 보험금이 지급·관리되고, 관리비를 줄임으로써 보험료가 저렴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사물인터넷을 이용해 개인 건강정보를 블록체인에서 거래하면 익명성을 보장받으면서 건강상태에 따른 보험료가 책정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인 교수는 이와 같은 블록체인 기술을 국가 핵심 인프라로 인식해 국가적인 산업 로드맵을 만들어야 하지만, 해외와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낡은 규제 개혁안이 국회에서 잠자고 있다며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PC의 시대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가 세상을 장악했듯이 4차 산업혁명이도래할 때는 블록체인이 장악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이를 주도하는 데 실패한다면 국민의 헬스데이터와 금융자산이 외국 기업의 블록체인에 저장·관리·거래돼 의존도가 심화된다"고 우려했다.



인 교수에 이어 발표한 황인창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해외 보험업계가 블록체인의 잠재성을 높이 평가해 컨소시엄을 구성하거나 스타트업과 제휴해 블록체인의활용방안을 활발히 연구·개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황 위원은 보험산업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하려면 새 사업모형을 발굴하고 전문인력을 확보하며, 방대한 보험 데이터를 저장·처리할 표준화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sncwoo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