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스타트업, 외화내빈…외형은 성장, 영업이익률은 감소

입력 2016-05-17 11:00
"현대경제硏…"중국·인도 신생 벤처에 대한 투자 비중 증가""생태계 기반 확충하고 민간 주도 활성화 정책 마련해야"



한국의 스타트업이 업체 수 증가 등 외형적인측면에서는 성장하고 있지만 기업당 평균 매출액이나 영업이익률, 근로자 등은 감소해 질적으로는 정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국내외 스타트업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국내 벤처기업 수는 2000년 8천798개에서 지난해 3만1천260개로 3배 넘게 늘었다.



전체 벤처기업의 매출액도 2010년 177조원에서 2014년 215조원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벤처기업 수 증가율은 2010년 연 30% 수준에서 2015년에는 10% 이하로 둔화했다.



매출액 증가율도 2010년 연 18.9%에서 2014년 11.2%로 감소했다.



벤처기업들의 질도 나빠졌다.



벤처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2010년 72억2천만원에서 2014년 71억9천만원으로 줄었고, 같은 기간 평균 영업이익률도 5.9%에서 5.8%로 소폭 감소했다.



벤처기업 당 평균 근로자 수도 2010년 27.3명에서 2014년 24.0명으로 줄었다.



반면 중국이나 인도의 스타트업 투자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전 세계 스타트업 투자 중 중국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비중은 2011년 5.4%에서2015년 16.2%로 늘었고, 인도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비중도 2.5%에서 5.4%로 2배 넘게 커졌다.



벤처기업을 산업별로 보면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이 커지고 있다.



ICT 서비스 부문의 벤처기업 비중은 2010년 13.5%에서 2014년 17.3%로 늘었고,전체 벤처투자 중에서 ICT 서비스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비중도 2010년 7.4%에서 2015년 19.3%로 증가했다.



글로벌 스타트업 기업들도 인터넷 부문 스타트업 투자가 2015년 기준으로 33.8%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최근에는 모바일과 디지털 헬스, HR(인적자원) 테크 부문의 투자가 활성화되고 있다.



자금조달은 국내 벤처기업은 정부 정책자금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벤처기업의 신규자금 중 정부정책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46.1%로 가장높았다.



은행 등 일반금융으로 조달한 신규자금의 비중은 2010년 36.6%에서 2014년 32.9%로 감소했다.



반면 글로벌 스타트업 기업들은 벤처캐피털의 투자 비중이 2015년 기준 25.9%로가장 많고 기업 벤처캐피털(CVC)과 사모펀드(PE), 엔젤펀드 등 전통적인 조달 방법이 주를 이뤘다.



국내 벤처캐피털(창업투자회사)의 신규 벤처투자 규모는 2010년 1조910억원에서2015년 2조858억원으로 증가했지만, 벤처캐피털의 혜택을 얻는 기업은 전체 벤처기업의 3.3%에 불과했다.



국내 벤처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은 기업당 2010년 6.7개에서 2014년7.4개로 증가했다.



그러나 현재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과 비교해 자사 주력 제품(서비스)의 기술력 수준이 '미흡' 또는 '열세'라고 응답한 벤처기업 비중은 2010년 19.7%에서 2014년 30.1%로 증가해 체감 기술력 수준은 하락하는 상태다.



글로벌 스타트업 기업들도 지적재산권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적재산권 관련 분쟁을 경험한 스타트업의 비율은 70%나 됐으며, 응답자의 79%가 이런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허권 분쟁은 기업이나 투자자에게 소송비용 지출 등 피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해영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신성장 동력과 창조경제 기반 마련을 위한 스타트업 생태계 기반 확충 및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며 "민간 주도의 스타트업활성화 정책을 마련하고 제도 기반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laecor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