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조선업을 중심으로 정부와 채권단의 '총력 구조조정'이 진행됨에 따라, 최일선에 서 있는 산업은행도 자회사 매각과 관련인력 확충 등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는 앞으로 원활한 구조조정을 추진하기 위한 국책은행의 자본확충에 나서면서 인력과 조직을 개편하고 자회사를 신속히 정리하는 등 자구노력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산업은행이 진행하고 있는 비금융 자회사의 매각 작업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산업은행은 정부의 '기업은행·산업은행 역할 강화 방안'에 따라 2018년까지 3년간 장기간 보유한 비금융회사 지분을 집중적으로 매각할 예정이다.
산업은행이 지분 5% 이상 출자한 비금융사는 377개(출자전환 34개, 중소·벤처투자 등 343개)로 장부가 기준 9조3천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출자전환기업(5% 이상) 34개와 중소·벤처기업(15% 이상) 98개 등 132개가 우선 매각 대상이다.
산업은행은 특히 지난달 말 열린 출자회사관리위원회에서 올해 안으로 매각할비금융 자회사를 36곳에서 46곳으로 늘린 바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매각 대상 기업 가운데 부실이 발생했던 곳을 매각하는 데성공하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며 "그렇지 않은 회사들을 매각하면 그만큼 이익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산업은행의 BIS 비율은 14.28%다.
아직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자회사의 매각은 향후 다른 업종과 기업으로 구조조정의 범위가 넓어질 때에 대비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산업은행은 내달 중 출자회사관리위원회를 다시 열고 자회사들의 매각 방안을더 구체적으로 다듬을 예정이다.
아울러 자회사들의 상품 설명 부스 등을 설치해 간접적으로 매각 작업을 도울방안도 세우고 있다.
자회사 매각과 더불어 구조조정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도 확충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산업은행은 구조조정부문에서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금융부문이나 지역본부에서 관리하는 기업 여신이 고정이하로분류되거나 선제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구조조정부문으로 관할이 넘어오게 된다.
과거 기업구조조정실로 운영되던 산업은행의 구조조정 부서는 2015년 초 구조조정본부로 격상됐고, 지난해 말 다시 구조조정부문으로 커졌다.
구조조정부문 산하에는 기업구조조정 1실과 2실을 두고, 투자자산 관리와 정책금융재원의 회수를 담당하는 투자관리실을 신설했다.
기업구조조정실 시절 70명 수준이던 인력은 현재 관리 회사에 파견된 인력을 포함해 100명 안팎으로 늘어났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방침은 앞으로 구조조정이 더 확대된다면 그만큼 인력과 조직의 확충이 필요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계획이수립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서 관련 인력을 늘리는 방향이 되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sncwoo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