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행복 최대 장애는 노후준비…50대가 가장 불행"

입력 2016-01-17 11:00
경제행복지수 작년 하반기보다 상승…"저소득·자영업자·주부 불행"



우리나라 국민은 경제적 행복을 이루는 데 가장큰 장애물로 '노후준비 부족'을 꼽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더불어 ཮대', '저소득자', '주부' 그룹이 상대적으로 행복감이 덜한 것으로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 김동열 정책조사실장은 17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제행복지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20세 이상 성인 남녀 807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경제적 행복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전체 응답자 중 가장 많은 28.



8%가 '노후준비 부족'을 지목했다.



김 실장은 "특히 연령대가 높을수록 노후준비 부족을 행복 방해요인으로 꼽는응답자가 많았다"며 "60세 이상 응답자 중 60.2%, 50대 응답자 중에는 35.6%가 이런답변을 내놨다"고 전했다.



다음으로는 '자녀양육·교육'(21.9%), '일자리 부족'(20.2%), '주택문제'(19.1%)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응답자들이 느끼는 경제적 행복감의 정도를 수치화한 '경제행복지수'는 44.6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40.4보다는 큰 폭으로 오른 것이며, 지난해 상반기 44.5와비슷한 수준이다.



김 실장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8년 이후에는 전반적으로 지수가 계속상승하는 모습"이라며 "특히 작년 하반기 '메르스 사태'로 인한 부진을 완전히 털어냈다"고 소개했다.



그는 "특히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나 추경 집행,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행사등 소비활성화 대책도 지수 상승에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응답자의 연령이나 직업, 결혼 유무에 따라 행복지수는 다르게 나타났다.



우선 연령대별로는 30대의 행복지수가 48.8점으로 가장 높고, 50대의 행복지수가39.4점으로 가장 낮았다.



김 실장은 "50대의 경우 직장에서 은퇴하는 시기와 겹치며 행복감이 떨어지는것"이라고 설명했다.



직업별로는 전문직(57.4점)·공무원(53.7점) 등의 행복지수가 높았으며, 자영업자(40.2점)·주부(38.8점)는 낮은 편에 속했다.



소득별로는 연 8천만원 이상의 고소득자는 63.4점으로, 2천만원 미만 소득자(36.3점)에 비해 1.7배 높은 지수를 기록했다.



소유자산별로 살펴봐도 10억원 이상 보유한 응답자들의 행복지수는 65.3점으로,1억원 미만 소유 응답자(39.2점)보다 역시 1.7배가량 높았다.



학력별로는 대학원 졸업(50.4점), 대학교 졸업(46.1점), 고등학교 졸업(38.9점), 중학교 졸업(38.4점) 등의 순이었다.



미혼자의 경제행복지수가 46.7점으로 기혼자(44.1점)보다 높다는 점도 눈에 띄었다. 이혼·사별자의 경우 26.8점으로 가장 낮았다.



김 실장은 "미혼자는 기혼자보다 경제적 부담이나 책임감이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hysu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