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상승·부동산가격 하락시 취약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한계상황에 내몰린 자영업자 비율이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3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가계금융·복지조사에기반한 지난 3월 말 기준 한계가구는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표본모집단 1천839만가구의 59.1%)의 13.8%를 차지했다.
한계가구는 금융순자산이 마이너스(-)이고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DSR)이 40%를 초과하는 가구를 지칭한다.
이들 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 규모는 전체 금융부채의 32.7%(약 4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한계가구에서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33.8%로 전체 가구 대비 자영업자 비중(23.6%)보다 10.2%포인트나 높았다.
이는 자영업자 중에 과도한 수준의 금융부채를 짊어진 사람이 많다는 얘기다.
반면에 상용근로자의 한계가구 비중은 40.1%, 임시직 일용근로자의 한계가구 비중은 12.2%로 조사됐다.
한계가구를 소득 분위별로 보면 소득 2∼3분위 계층이 46.2%를 차지했다.
연령대 별로는 40∼50대 중장년층이 59.4%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한계가구 중에 소득 4∼5분위 고소득층이 38.9%나 포함됐는데 이들의 금융부채규모는 전체 한계가구 금융부채의 63.1%(전체 가계금융부채의 20.6%)에 달했다.
한계가구의 자산규모는 평균 4억9천만원, 부채는 평균 2억원으로 비한계가구보다 자산·부채가 각각 1억5천만 원가량 많았다.
이는 한계가구가 금융부채를 활용해 부동산 투자를 늘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한계가구는 실물자산 비중이 91%로 비한계가구의 71%보다 월등히 높아 앞으로 부동산가격 하락 등의 충격이 발생하면 손실 위험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
이들 한계가구는 또 처분가능 소득대비 금융부채 비율과 원리금 상환액 비율이높아 금리가 오르면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hoonkim@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