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활력 높이는데 청년일자리 창출이 가장 중요"
국민 10명 중 7명이 한국 경제의 활력을 높이는데 필요한 일로 청년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국민이 그만큼 청년 실업 문제를 크게 체감하고 있다는 뜻이다.
청년 일자리를 늘리려면 대학교육을 현장 중심으로 바꾸고, 중소기업이 청년고용을 늘리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기획재정부가 올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수립을 위해 최근 일반 국민 1천명과 교수·기업인 등 전문가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국민 74.8%는 정부가 하반기 경제정책의 중점을 구조개혁보다는 경제활력을 높이는 데 둬야 한다고 답했다.
올해 들어 살림살이가 팍팍해진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국민 절대다수인 95.2%는 올해 상반기 생활 형편이 작년과 비슷하거나 나빠졌다고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슷했다는 응답 비율이 53.3%, 나빠졌다는 비율은 41.9%였다. 좋아졌다는 응답은 4.8%에 그쳤다.
전문가 중에서는 60.8%가 올 상반기 경제가 더 나빠졌다고 답했다.
경제활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복수응답)으로 일반인 응답자는 청년 일자리 창출(72.0%)을 가장 많이 꼽았다. 기업투자 촉진(33.2%), 소비여건 확충(32.2%), 수출경쟁력 강화(28.1%)가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기업투자촉진(37.3%), 수출경쟁력 강화(35.7%), 청년 일자리 창출(35.7%)이 두루 중요하다고 꼽았다.
청년 일자리 정책과 관련해 일반인들은 가장 시급한 일이 현장중심 대학교육(27.5%)과 중소기업의 청년고용 유인책 강화(26.9%)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의 답변은중소기업의 청년고용 유인책 강화(43.6%)에 쏠렸다.
구조개혁과 관련해 일반인들은 노동부문(36.8%), 전문가들은 공공부문(49.2%)개혁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노동부문에서 가장 시급한 개혁 과제로는 임금피크제와 비정규직 처우 개선이,공공부문에서는 방만 경영 근절과 부채관리 강화가 꼽혔다.
상반기 경제정책 가운데 일반인들은 임대주택 활성화(30.8%)와 공공개혁(25.4%)을 높이 평가했다. 전문가들의 평가는 확장적 거시정책(34.5%), 공공개혁(30.7%),창조경제 구현(28.8%) 순서로 좋았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