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0∼30대 가계소득 증가율 0%대…50대는 7% 넘었다

입력 2015-03-04 06:06
청년실업 증가하고 일자리 질 나빠진 탓…세대간 격차 확대소득 늘지 않으니 빚만 쌓여…30대 미만 가구 부채 11% 증가



지난해 20∼30대 가구주 가계의 소득 증가율이0%대로 떨어져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에 50대는 7%대, 60세이상은 4%대의 증가율을 각각 나타냈다.



4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2인 이상 가구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433만9천612원으로 전년보다 0.7%(2만9천486원) 늘었다.



이런 증가율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낮은 것이다.



39세 이하 가구의 소득은 2013년에는 7.4% 늘었고, 글로벌 금융위기의 직격탄을맞은 2009년에도 2.9% 증가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인 점을 고려하면 20∼30대 가구의 소득은 사실상 줄어든 것이다.



20∼30대 가구의 소득이 정체한 원인으로는 청년실업 증가와 고용의 질 악화가꼽힌다.



작년에 취업자 수는 53만3천명이나 늘어 12년 만에 증가 폭이 가장 컸는데도 청년 실업률은 9.0%로 역대 최고치였다.



취업자 수 증가는 청년층보다는 장년층이 주도했다. 50대 취업자 수가 23만9천명, 60세 이상이 20만명 증가하는 동안 15∼29세 취업자는 7만7천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30대 취업자는 2만1천명 감소했다.



취업을 한다 해도 비정규직과 생계형 창업 등 질 나쁜 일자리가 많아 생계비를감당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지난해 청년 취업자 19.5%는 1년 이하의 계약직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진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은 "청년층 취업이 늦어진 데다 직장을 구하다 지쳐 하향 취업하는 이들이 늘어난 점도 20∼30대 가구의 소득 정체에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청년층이 계속해서 질이 낮은 일자리에 머물러 인적자본을 쌓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월세금 등 생활비는 계속 오르는데 소득은 늘지 않으니 빚이 쌓였다.



지난해 가구주가 30세 미만인 가구의 평균 부채는 1천558만원으로 1년 전보다 11.2% 늘었다. 전 연령대 가운데 증가율이 가장 높다.



30대의 평균 부채는 5천235만원으로 7% 증가했으나 40대와 50대는 각각 0.8%, 0.6% 줄었다.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소득 격차는 갈수록 확대되는 모습이다.



20∼30대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0%대에 머무는 동안 50대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495만7천167원으로 7.2%(33만3천702원) 늘었다. 40대 가구 소득은 482만2천494원으로 2.9%(13만7천400원)의 증가율을 보였다.



60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81만2천187원으로 4.5%(11만9천964원) 증가했다.



노후 대비가 불충분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들이 계속해서 일손을 놓지 않고 있는데다 경기 부진으로 40∼50대 주부들이 대거 생활 전선에 뛰어들어 세대 간 소득 격차가 벌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고용 증가에도 가계소득이 기대만큼 늘어나지 않는 것은 여성·고령층 위주로 저임금 근로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라며"결국 청년실업난을 풀어야 가계소득 증가율 둔화, 세대간 격차 문제 등을 해소할수 있다"고 말했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