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중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대폭 꺾여 이런 부동산 자금 흐름의 변화가 주택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대출 증가세의 둔화는 주택 거래량이 늘어나는 가운데 나타난 현상이어서 더욱이목을 끈다.
지난 1월 중(29일 현재) 6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 증가폭은 2천852억원으로 지난해 10월 3조8천232억원, 11월 3조8천252억원, 12월 3조5천446억원과 비교해월간 증가액이 갑자기 10분의 1 미만으로 줄었다.
물론 1월 주택담보대출 실적이 저조한 것은 올해만의 일은 아니다.
한국은행의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통계를 보면 2010년과 2011년 1월 대출 실적은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2012∼2014년 같은 달의 대출 실적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2013년 1월에는 대출 잔액이 전월보다 2천202억원이나 줄었다.
이런 현상을 고려하면 올해 1월 대출 실적 감소는 크게 두드러지는 현상이 아니라는 분석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올해 1월 증가세 둔화는 예년과는 다소 다른 상황에서 벌어졌다.
우선 주택거래량 추이다. 주택담보대출은 주택거래량과 1대 1의 대응관계를 갖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다.
서울시부동산광장의 부동산거래현황을 보면 주택대출이 대폭 감소한 2013년 1월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천199건으로 전월 7천310건 대비 3분의 1 이하로 크게 줄었다.
반면, 올해 1월 아파트 거래량은 6천549건으로 전월(6천694건)과 비교해 비슷한수준이다. 아파트 거래량은 줄지 않았는데 주택대출은 10분의 1 미만으로 감소한 것이다.
작년 12월과 올해 1월 사이에 별다른 부동산 세제혜택의 변화가 없었다는 것도예년과 다른 점이다.
2012년에는 정부의 취득세 감면 혜택이 12월말로 끝나면서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몰린 탓에 2013년 1월 거래량과 주택대출이 크게 줄었다.
2013년 말에도 생애최초 구입자 취득세 면제 혜택 및 신규·미분양 주택 구입자양도세 5년 면제 혜택 등 세제혜택 종료 이슈가 있었고, 2011년 말에도 취득세 감면혜택 종료 이슈가 있었다.
반면, 작년 말에는 별다른 세제혜택 종료 이슈가 없었는데도 주택대출 증가세가크게 둔화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주택거래와는 별개의 사유가 1월 주택대출 증가세 둔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김현아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경제연구실장은 "지난 1년여 동안 주택 실거래량과 은행 주택담보대출 간의 연관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주택구입 용도보다는 생활자금 등의 수요가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거래는 늘어나는데 주택대출 실적이 둔화했다면 생활자금 용도의 대출이멈췄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이휘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도 "주택담보대출은 신규 구매 수요도 있지만 이미 보유한 주택을 활용해 추가 대출을 하는 경우도 많다"며 "작년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및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와 금리 인하에 따른 정책효과가이미 어느 정도 반영이 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택담보대출 둔화가 일시적 현상에 그칠지 아니면 향후에도 이어질지는 적어도몇개월 더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김현아 실장은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 초저금리 수익공유형 모기지나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대 고정금리대출 등 정책상품의 효과가 2∼3월이 돼야 가시화될 것"이라며 "주택거래는 올 봄에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이휘정 수석연구원은 "추가 금리인하가 있지 않는 한 올해는 주택대출이 작년의증가세를 유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1월 실적만 보고 대출 수요가약세로 돌아섰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박원갑 국민은행 수석 부동산전문위원은 "1월 실적만 보면 전세난이 매매수요로활발히 이전되지 않고 있다는 판단이 설 수 있다"며 "다만 2월 방학 이사철과 3월봄 이사철에 1년 중 많은 주택 거래가 일어나는 만큼 2∼3월 실적을 지켜봐야 추세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sahn@yna.co.kr, pan@yna.co.kr, redfla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