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금회 등 금융계 인사 논란…당국으로 비난 '불똥'

입력 2014-12-03 11:21
'정치권' 줄대기 극심, 금융당국도 방패막이 못돼금융권 "한국금융 미래없다" 위기감 확산



이른바 '서금회(서강금융인회)' 등 정치권에 줄을 댔을 가능성이 농후한 인사들이 금융사 요직을 석권하면서금융당국으로 책임론이 퍼지고 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관료 출신이 배제된 금융사 최고경영자(CEO) 자리를 정치권에몸담은 비전문적인 인사나 특정 학맥으로 결집된 인사들이 독식하는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제동을 걸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이순우 우리은행장이 연임 포기를 선언하고 서금회 출신 이광구 부행장이 차기 행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면서 금융권 전반으로 인사 논란이 확산하자 당국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한 달여 전만 해도 이 행장이 연임할 것이라는 전망은 우세했다. 그러나 서강대금융인회(서금회) 출신 인사가 이미 행장에 내정됐다는 얘기가 금융권에서 돌기 시작하면서 분위기는 바뀌었다.



서금회 출신 이 부행장이 차기 우리은행장 후보로 최종 선정될 가능성이 커지자 이 행장은 용퇴를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라인이 이 부행장을 뒤에서 밀면서 현 행장 유임을 원하던 금융당국이 입장을 바꿨다는 소문도 들린다.



최근 금융권에서 제기되는 정피아 낙하산 논란도 유사한 수순을 밟고 있다. 서금회이거나 관의 지원을 받는 특정 인사가 내정됐다는 소문이 돈 이후 형식적인 CEO추천위원회가 열린 후 예상됐던 인사가 추인받는 형식이다.



들러리가 된 인사들의 중도 사퇴가 잇따르고 이들에 대한 비판 여론이 비등해지지만 결국 논란의 중심에 선 인사들이 최종 선정되는 결과로 귀결됐다.



4개월간 공석이던 대우증권[006800] 사장에 서금회 멤버인 홍성국 리서치센터장이 낙점되는 과정이나 하영구 전 씨티은행장이 KB금융지주 회장에서 고배를 마시고은행연합회장으로 선출되는 과정도 판에 박은 듯 닮았다.



은행연합회 이사회는 지난 24일 차기 회장을 선출하지 못하고 재논의하기로 하는 등 진통이 있는 듯 했으나 결론은 하영구 은행장을 선택했다.



이런 논란의 중심에 선 서금회는 박 대통령의 모교인 서강대 출신 금융인들이 2007년 만든 모임이다.



75학번 10여명을 주축으로 시작한 이 모임은 18대 대선을 앞두고서 참석자가 급증해 현재는 300여명이 넘는 모임으로 커졌다.



정치권에 연을 댄 인사들의 금융사 요직 독점 논란이 불거지면서 내년초 진행될금융투자협회장, 신한은행장, 예금보험보험공사 사장 등 자리에 어떤 인사가 선임될지도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금투협회장의 경우 김기범 전 KDB대우증권 사장, 유정준 전 한양증권[001750]사장, 최방길 전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사장, 황성호 전 우리투자증권[005940] 사장, 황영기 전 KB금융지주 회장 등이 자천타천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금융노조는 2일 낸 성명에서 "금융권 인사가 인맥과 연줄로 엉망이 되고 있다"며 "청와대와 금융당국은 비정상의 정상화와 낙하산 인사 근절을 말로만 떠들 게 아니라 몸소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융사 관계자는 "정치권에서 부적절한 외압이 있다면 당국이 적절히 걸러줘야제대로 굴러갈 수 있는데 그런 기능이 요즘 망가진 듯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금융권에서는 실력으로 평가받기보다 권력실세에 끈을 대낙하산식으로 주요 보직을 맡으려는 물밑작업이 확산하는 분위기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연합회장 선임 등 외압설이 나와도 임명이 강행되는 것을보면 우리은행장 선임 역시 잡음이 나도 전혀 개의치 않을 것이란 얘기가 들린다"고전했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은행이나 지주사 인사를 보면 정권에 손을 대서 낙하산으로 내려오려는 줄대기 풍조가 심각해지고 있다"면서 "관료 조직인 당국이 버티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금융권에서는 금융당국이 최근 내놓은 금융지주 지배구조 개선안에 대해서도 비판 의견이 제기된다.



CEO 승계 시스템을 잘 구축하라고 장려하면서도 정작 금융위원회가 외압을 커버해주기는커녕 방관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권력층이 내려준 쪽지를 아래에 전달만 해 '메신저로 전락했다'는 비아냥도 나온다.



금융권 인사는 "이런 분위기가 계속되면 한국금융의 미래는 없다"며 "정치권과 정부가 자리 욕심을 버리고 업계가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spee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