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기술형 벤처기업 지분투자 늘린다

입력 2014-08-28 06:01
"대출만으론 기술금융 한계…투자한도 등 걸림돌도"



기술형 벤처기업에 대해 은행들이 지분투자를 확대한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그룹 차원에서 벤처기업에 대해 은행 고유계정을 활용한 지분투자를 늘리기로 했다.



자금을 저렴하게 안정적으로 조달하려는 벤처·중소기업을 위해 이들 기업의 주식전환사채(CB)도 인수한다.



신한은행은 초기 단계에서 기업 지분에 참여하고, 이후 운전자금 대출 등으로부족한 자금을 지원하는 투·융자 복합에 초점을 맞췄다.



그룹 고위 관계자는 "고객 예금을 운용하는 대출은 보수적일 수밖에 없다"며 "자체 자금의 일정부분을 지분투자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망한 벤처기업을 발굴해 투·융자로 성공을 거둔 지점장을 본부장으로 발탁하는 등 인사상 혜택도 검토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기술형 창업지원 대출과 성과공유형 CB 인수 등에 하반기중 8천800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우리은행도 기술형 벤처기업에 대한 투·융자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여신정책 부서에서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보통 투자가 이뤄지고 나서 3~5년 안에 IPO가 가능한 사업성 좋은 업체가 지분투자 대상이다.



국민은행도 '관계형 금융' 확대 차원에서 투·융자를 복합하는 방식을 고려 중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기본적으로는 운전·시설자금 융자 지원 방식을 유지하겠지만 관계형 금융 강화 맥락에서 투자를 늘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며 "업체 측의경영권 변동 우려와 은행 측의 회수 부담을 덜기 위해 상환우선주나 전환사채(CB)투자 위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책은행인 기업은행[024110]은 지분투자와 함께 전통적인 방식의 기업대출을늘려 기술형 벤처기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기술금융을 '정부가 시켜서 하는 일'이라기보다는 고객 확대의 기회로 삼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은행마다 기술금융 확대 방안을 찾고 있지만, 전망이 어둡다는 시각도적지 않다.



'모험 투자'일 수밖에 없는 기술금융에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뛰어들 유인이 적기 때문이다. 정부도 이런 점을 일정부분 인정하고 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전날 간담회에서 "은행은 투자 성공에 따른 보상이 제한적이어서 비즈니스 모델 자체가 기술금융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지분투자에 나서려고 해도 은행의 지분보유 한도가 15%로 제한된 데다 창업 초기벤처기업은 자본금 규모가 작아 지분투자의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여러 은행이 특수목적법인(SPC)을 만들어 공동 투자하더라도 초기 자본이 몇억원에 불과해 큰 도움이 안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금융권 일각에선 이명박 정부의 '녹색금융'처럼 기술금융이 박근혜 대통령의 집권 기간에만 반짝하고 사라질 것이라는 냉소적인 반응도 나온다.



임일섭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금융연구실장은 "'창조경제' 달성을 위해선 표준화되고 안정적인 자금을 공급하는 은행보다는 자본시장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zheng@yna.co.kr, p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