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직접구입 10억弗…소비시장 장벽 허물어진다"

입력 2014-02-25 12:00
수입 의존도는 높지만 소비재 수입 비중은 적은점이 해외직구(해외로부터의 직접 구매) 시장을 키웠다는 분석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 강중구 책임연구원과 이혜림 선임연구원은 25일 '해외직구 규모아직 작지만 소비시장 장벽 허물어지고 있다' 보고서에서 이렇게 분석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2001년 1천300만달러로 전체 소비재 수입액의 0.07%였던 해외직구 금액은 지난해 10억달러를 넘어섰다. 전체 소비재 수입액의 1.8% 수준이다.



연구진은 한국의 수입의존도 자체는 높지만 소비자들이 직접 쓰는 소비재 중에서 수입품 비중이 낮기 때문에 해외직구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 등을 보면 한국의 수입의존도(국내총생산대비 수입 비중)는 2012년 49.6%로 미국(14.0%)이나 일본(12.3%)보다 월등히 높다.



하지만 2011년 현재 수입품 가운데 원자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79.8%로 대부분이고 소비재는 9.8%에 불과하다.



이에 비해 미국은 소비재 비중이 35.4%에 달하고 독일(27.8%)과 일본(25.3%)도소비재 비중이 한국보다 높다.



전체 재화 소비 가운데 수입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도 한국은 2011년 기준 20.



6%로 OECD 34개국 가운데 29위다. 수입의존도가 OECD 국가 중 11위인 것과 대비된다.



특히 품목별 소비지출 가운데 수입품이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자동차와 가방, 의류, 신발, 이미용품 등의 개방도가 낮았다. 자동차를 빼고는 최근 해외직구가늘어난 품목들이다.



이와 함께 몰테일, 아무, 맘스 등 전문 배송대행업체가 생겨 구매의 불확실성을낮추고 적극적인 공동구매를 유도하고 있는 점,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나 인터넷커뮤니티에서 소비자의 정보공유가 활발해진 점도 해외직구가 늘어난 이유로 분석된다.



연구진은 이런 해외직구가 소비자에게 다양한 제품을 선택할 기회를 주고 제품의 수입가격 하락 물가 안정으로 이어지는 등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평가했다.



최근 국내 전자제품의 역수입 현상이 이슈가 된 것처럼 시장지배력을 가진 국내기업이 국내외 가격차별 정책을 쓰기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연구진은 "해외직구가 당분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소비자가 고스란히 떠안고 있기 때문에 정부는 환불·교환, 상품 A/S 등과 관련된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소비자 보호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