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오른 이후 외환시장의변동성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이 편익 못지않게 비용도 커질 수 있는 만큼 비용에 대한 평가도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강삼모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와 조유정 한국은행 조사역은 11일부터 이틀간성균관대학교에서 진행되는 한국경제학회 경제학 공동학술 대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논문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들은 한국과 일본, 중국, 태국, 인도네시아 등 국가의 신용등급과 주식·외환시장의 변동성을 실증 분석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이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보다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에 따른 환율, 주가 변동성 증대 등 부정적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특히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상향조정이 외환시장 변동성을 크게 증가시켰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환율 변동성의 증대는 수출입 및 투자의 감소를 일으키는 만큼 국가신용등급의 상향조정은 편익 못지않게 비용도 많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1997년 외환위기를 겪었던 태국과 인도네시아의 경우 국가신용등급의 변화는 주가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환율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외환위기를 겪지 않았던 중국과 일본은 국가신용등급의 변화가 주가와 환율에 큰영향을 주지 않았다.
국가신용등급 조정 전후로 환율과 금리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가운데 신용등급 상향 조정때보다 하향조정 때가 변동성이 더 크다는 결과도 도출했다.
연구자들은 한국이 다른 나라보다 환율 변동성이 이처럼 컸던 것은 1997년 동아시아 외환위기의 경험이 있다는 점, 무역의존도가 태국·인도네시아 등 국가보다 높다는 점, 여타 국가보다 자본 자유화 정도가 크게 이뤄졌다는 점을 들었다.
이들은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 문제를 평가할 때 주식 및 외환시장에 드는 비용도 추가로 고려하는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pee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