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韓 펀더멘털 좋아 1,100원선은 넘지 않을 것"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2차 테이퍼링(tapering·자산매입 축소) 조치로 원화가치는 당분간 약세(원·달러 환율)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양적완화 축소 규모가 시장의 예상에 부합하지만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 금융불안, 중국의 경기지표 악화 등 대외 악재가 많아 위험자산 회피 기조가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다만, 한국 경제의 기초체력(펀더멘털)이 여전히 좋은 평가를 받고있고 올해도 경상수지 흑자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원·달러 환율이 1,100원선을 넘어설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올해 1.5% 절하된 원화…신흥국 통화와 비슷한 흐름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달러화로 환산한 원화 가치는 올해 들어 29일까지 1.48%떨어졌다. 원·달러 환율은 1,050.3원에서 1,070.4원으로 올랐다.
지난해 금융시장 불안에 시달리던 신흥국 통화와 차별화돼 원화는 강세를 이어갔던 것과 사뭇 다른 모습이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6월 20일 벤 버닝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테이퍼링 가능성을 언급한 이후 3영업일동안 30.6원 급등했지만 이후 5영업일간 상승폭 대부분을 반납하고 안정을 되찾았다.
원화는 이후 달러화와 비교해 계속 강세 기조를 이어가며 '버냉키 후폭풍'이 시작된 6월 20일부터 8월 말까지 약 두달간 가치가 3.21% 올랐다.
반면에 같은 기간 인도 루피화(-9.34%), 인도네시아 루피아화(-8.91%), 브라질헤알화(-6.06%) 터키 리라화(-4.95%) 등이 모두 절하(통화가치 하락)됐다.
하지만 최근 원화는 최근 신흥국 통화와 마찬가지로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고있다.
이는 추가 테이퍼링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 선반영된데다 신흥국 금융불안 등 다른 대외 악재들이 즐비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우선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신흥국 금융시장이 흔들리면서 국제 금융시장에 불안을 안겨주고 있다.
터키 중앙은행의 경우 리라화 가치가 급락하자 기준금리를 동결한지 1주일만인28일(현지시각) 긴급회의를 열어 7일물 REPO금리를 4.5%에서 10%로 5.5%포인트로 올리는 비상조치를 취했다.
중국의 1월 HSBC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잠정치도 반년 만에 기준치(50)이하인 49.6으로 떨어져 경기둔화 우려가 다시 불거지고 있다.
미국 또한 주식시장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던 지난해 말과 달리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16,000선을 내줬다.
이런 악재들 속에 세계 금융시장에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퍼지며 원화가 신흥국 통화들과 '동반 약세' 기조를 보인 셈이다.
손은정 우리선물 연구원은 "지난해에는 테이퍼링 외에 크게 우려할 사항이 없었지만 요즘은 테이퍼링 이슈가 (환율에) 선반영된 것 뿐 아니라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이 흔들리고 중국 경기지표가 좋지 않은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 "1,100원선 상향돌파 동력은 크지 않아" 전문가들은 연준이 비록 시장의 예상에 들어맞는 선택지를 골랐지만 추가 테이퍼링을 택한 것 자체가 당분간 원·달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대외 악재들이 여전히 많은데다 위험자산 회피심리를 잠재울만한 특별한 변수가없기 때문이다.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테이퍼링 규모가) 시장의 예상과 맞아떨어져 큰 영향은 없겠지만 신흥시장이 여전히 불안하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 변동성은 확대될 수 있다"며 "원·달러 환율 추가 상승시도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단기적으로 차익실현 물량이 나올 가능성도 적지 않다.
손은정 연구원은 "경상수지 흑자폭이 최고점을 찍었다는 인식이 단기 차익실현욕구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며 "한국경제의 펀더멘털 등을 바탕으로 한 움직임이라기보다 가치가 많이 올라 있는 통화를 판다는 관점에서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원·달러 환율이 1,100원선을 상향돌파할 가능성은 적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테이퍼링이 예정된 이벤트인만큼 앞으로 시장의 민감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큰데다 신흥국의 금융시장 불안도 점차 잦아들 수 있기 때문이다.
경상수지도 올해 흑자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여 달러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수 있다.
한국은행은 이달 초 2014년 경제전망 수정치를 발표하면서 올해 한국의 경상수지가 550억달러 규모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에 대한 국제 시장의 평가가 크게 나빠지지 않았다는 점도급격한 원·달러 환율 상승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이다.
전승지 연구원은 "원화 펀더멘털은 거의 그대로고 기업들의 선물환 동향을 봐도팔아야 할 달러가 아직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2분기에는 오히려 밑쪽으로 시도할(원·달러 환율 하락) 여건이 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달 초 16개 외국계 투자은행(IB)들도 1분기 원·달러 환율을 평균 1,060원대초반 선으로 전망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국내경제팀장은 "현 상황에서 이 정도 속도의 테이퍼링이라면 시장이 감내할 수준이라고 본다"며 "원·달러 환율은 1,090원 선까지 상승할가능성도 있어 보이지만 연평균 1,070원선 주변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