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한국은행 총재 누가 되나>

입력 2014-01-14 15:07
박근혜 대통령이 차기 한국은행 총재 인사에 대해 언급하면서 김중수 현 총재의 뒤를 이어 앞으로 4년간 통화신용정책의 수장을 누가 맡을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최근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차기 한국은행 총재로 검토 중인 여성 후보가 있느냐는 질문에 "지금 어떤 분이 좋을까 널리 생각하고 찾는 중"이라면서 "특별히 어떤 분이라고 말씀드리기는 좀 어렵다"고 답했다고 청와대가 14일전했다.



아직 후임 총재를 누구로 임명할지 정하지는 못했지만,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명박 정부 시절이던 2010년 임명된 김중수 총재의 임기는 오는 3월말로 끝난다.



박근혜 정부로서는 임기 4년의 새 총재가 현 정부의 남은 임기를 거의 같이 하면서 경제 정책의 한 축을 맡는다는 점에서 중요한 인사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재정정책보다 통화신용정책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점에서 통찰력, 국제감각 등 후임 총재에게는 여러 자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해 윤창현 한국금융연구원 원장은 "무엇보다 미국의 통화정책 흐름을 잘읽으면서 금융시장과 원만하게 소통하는 역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해 기준금리를 놓고 한은과 경제부처 간의 갈등이 고조되면서 손발이맞지 않는다는 평가가 나왔다는 점에서 박 대통령은 후임 총재 인선에 신중을 기할것으로 보인다.



이미 금융계나 학계에서는 자천타천으로 후임 총재감이 거론되고 있다.



우선 학계 인물로는 경제학자인 김광두 서강대 석좌교수, 정갑영 연세대 총장,조윤제 서강대 교수, 김인준 서울대 교수, 신세돈 숙명여대 교수 등이 후보군이다.



김광두 교수는 지난 대선 당시 박근혜 후보 캠프에서 경제정책의 밑그림을 그렸고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 과외교사'로 불리는 만큼 국정 철학을 공유할 수 있는인물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갑영 총장이나 조윤제 교수는 국민정책자문회의 위원을 맡고 있으며 김인준교수나 신세돈 교수도 박 대통령이 경제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안면을 익힌 것으로알려졌다.



관계에서는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 경제기획원 출신의 현정택 인하대 교수 등이거론된다. 이들은 정책 경험이 풍부하다는 점이 강점이며 인사 검증 부담도 상대적으로 작다.



2012년 한국은행법 개정으로 이번 한은 총재부터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하는 만큼 도덕적인 면모도 중요하다. 그동안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면 됐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진 셈이다.



차기 총재 후보로 거론되는 인물들의 재산이나 논문 표절 문제 등을 둘러싼 구구한 소문이 벌써부터 금융시장에서 나도는 이유이기도 하다.



금융인으로서는 서강대 출신의 금융계 대부로 통하는 이덕훈 키스톤프라이빗에쿼티 대표가 후보군 진입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주열, 박철 전 한은 부총재 등 한은 출신이나 김대식 중앙대 명예교수, 최도성 한동대 교수 등 옛 금통위원 출신들도 거론된다.



여기에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이라는 논리가 깔려있다. 실제로 김중수 총재 직전인 이성태 총재는 순수 한은 출신이고 박승 총재도 학계로 옮기기 전에 한은에서 근무한 바 있다.



후보군은 굳이 국내에서 활동하는 인물에 국한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신현송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는 현 정부가 탐내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신 교수는 전 세계적인 통화신용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미국 등 국제 금융가의 흐름에 대한 통찰력이 높다는 점이 애초 강점으로 꼽혔다.



한은의 한 관계자도 "이제는 국제회의에서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와 의견을 자유롭게 교환하면서 정보를 나눌 국제적인 감각이 총재의 중요한 자질이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신 교수는 국제기구인 국제결제은행(BIS) 경제자문역 겸 조사국장에 오는 5월부로 임명된 상태여서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자진 사퇴한 김종훈 초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의 사례처럼 의외의 인물이 임명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웰스파고 은행 부행장을 지낸 손성원 캘리포니아주립대 석좌교수 등 미국 금융계에서 활동하는 한국인들도 다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은 소문 수준일 뿐 누가 차기 총재가 될지는 오리무중이라는 게 정답이다.



정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청문회 일정 등을 고려해도 차기 총재 후보는 2월에나 가시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ev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