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양적완화(QE) 축소 발표로 최근 7개월간기준금리를 제자리에 묶어놓은 한국은행이 내년 말께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지 주목된다.
당초 일부 전문가들은 올해 물가상승률이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치 하한선을 밑도는 점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내놨다.
이에 대해 김중수 한은 총재는 최근 "기업이나 국민이 혹시 일본 등 과거의 다른 나라처럼 디플레이션 압력은 없느냐고 이야기하지만 이는 적절하지 않다"며 다른의견을 내놓은 바 있다.
그는 11월 물가상승률이 0.9%지만 농산물과 석유류를 뺀 근원인플레이션율이 1.
8%라는 사실을 언급하며 "인플레에 대한 기대치가 2.9%로 높다. 여러 정책 효과를제외하면 근원인플레이션율이 2%를 넘는 상황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출구전략이 본격화함으로써 한은이 추가 금리인하를 고려할 여지는 없어졌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하지만 최근 원·엔 환율 1,000원 선 붕괴가 목전에 있는 것은 기준금리 인상의장애물로 분석된다.
통상 양적완화 축소는 금융시장의 기초경제여건(펀더멘털)이 취약한 신흥시장국의 자본유출과 통화가치 급락(환율 급등)을 불러오지만 한국은 펀더멘털 강화로 취약 신흥국과 사정이 다르다는 평가를 받아온 만큼 원화 절상 기조 자체가 꺾이지는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그간 김중수 총재는 환율과 기준금리 조정 간에 절대적인 상관관계가 없다고 강조해 왔지만 올해 하반기 미국의 테이퍼링 가능성으로 신흥국 금융시장이 출렁이는상황에서도 원화 절상 기조가 이어진 점을 고려하면 한은이 금리 인상을 선택하기는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결정으로 19일 엔·달러 환율이 104엔을 상향돌파하면서 한국 수출기업에 직격탄을 날릴 수 있는 원·엔 환율도 2008년 9월 리먼 브러더스 사태 이후 처음으로 1,000원 선 붕괴를 눈앞에 두고 있다.
올해 1천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계부채 문제나 최근의 거시지표 회복세가 완만해 기준금리를 올릴 정도는 아니라는 분석이 나오는 점도 고려해야 할 요인이다.
다만 선진국과 한국의 경기 회복세가 현재와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원화 강세기조가 한풀 꺾인다면 내년 하반기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윤여삼 대우증권 연구위원은 "경기 트렌드(회복세) 자체에 대한 이견은 줄어들었다"며 "내년에는 원화 강세가 통화정책당국에 부담을 줄 정도는 아닐 것으로 보이므로 내수경기 회복세가 지금처럼 유지된다면 내년 말께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고 전망했다.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