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열차'에서 공정위원장이 바라본 경제민주화>

입력 2013-08-11 18:27
노대래 공정거래위원장이 경제민주화의 중요성을 최근 개봉한 영화 '설국열차'에 빗대어 표현했다.



설국열차는 갑작스럽게 닥친 빙하기를 피해 생존한 사람들이 무한 질주하는 열차에 탑승, 지배계층을 상징하는 앞칸에 대항해 피지배계층인 뒤칸 승객들이 반란을일으켜 결국 파국을 맞는 내용이다.



노대래 위원장은 1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영화 감상평에서 "설국열차는 자연재해를 극복하려는 인간의 노력과 그 과정에서의 계층 간 희생·배분 문제를 다뤘기때문에 관객마다 평가가 엇갈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삶과 자연, 인간관계의 본질적인 문제를 일깨워 주고 미래 이슈를 현실화시켰기 때문에 영화가 끝난 이후에 더 깊이 반추하게 하는 수준 높은 작품"이라고 호평했다.



노 위원장은 대·중소기업 상생을 주도하는 공정위의 견지에서 설국열차가 이런경제민주화 정책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해석했다.



그는 "인류 공멸이라는 대재앙 앞에서 열차 안의 균형 유지는 매우 중요했으나그 균형을 열차의 꼬리칸(뒤칸)의 희생을 통해 유지하려 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며"앞칸과 꼬리칸 간의 대화와 소통, 타협이 중요한데, 끝내 타협을 이끌어 내지 못하고 결국 파멸로 치달았다"고 말했다.



극단적으로 앞칸을 재벌·대기업, 뒷칸을 중소기업 또는 자영업자에 대입해보면이들 사이의 타협 대신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할 경우 경제 생태계가 망가져 공멸할수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노 위원장은 "(설국열차는) 경제민주화와 대·중소기업 협력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컸다"며 "어느 정책이건 대화와 소통이 중요하지만, 특히 stakeholder(이해관계자) 간에 이해가 상충하는 분야는 공멸을 막기 위해 합의도출에 최대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신분, 계층, 기득권이 장래 운명을 결정짓는 사회에서는 약자가 능력을발휘할 유인이 없게 된다"며 "시장경제는 사회적 이동성이 보장되고 실력을 속일 수없을 때 성공한다"고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있는'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zhe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