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성' 택한 4번째 우리금융 매각 도전, 성공할까>(종합2보)

입력 2013-06-26 15:22
<<주식 매매거래 정지, 증권계열 단독입찰 유효 등 금융위가 오후에 발표한 세부사항 추가. 기사 전반적 보완. 제목, 부제목 수정.>>3개 그룹 분리매각으로 '흥행성' 높여…금융위 "유효경쟁 낙관"주가 낮아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는 의문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가 26일 발표한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은 민영화의 실현 가능성에 초점을 맞췄다.



즉 빠른 민영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금융산업의 발전이라는 민영화 3대 원칙 가운데 '빠른 민영화'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특히 지난 정부에서 세 차례나 매각에 실패한 '아픈 기억'을 안고 있는 공자위는 우리금융을 ▲광주·경남은행 등 지방은행계열 ▲우리투자증권·우리아비바생명등 증권계열 ▲우리은행 등 은행계열로 쪼개 투자자 부담을 최대한 줄여주기로 했다.



하지만, 시장 상황이 좋지 않고 일부 비인기 계열사가 인기 계열사와 묶여 있어매각작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3개 그룹 분리매각…분할·합병·매각 '동시진행' 공자위는 이날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시장수요'에 맞게 분리매각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우리금융 14개 자회사를 3개 그룹으로 나눠 각각 예금보험공사나 우리금융이 매각하고, 민영화를 위한 분할·합병은 매각절차와 동시에 진행하기로 했다.



우선 해당 지방에서 치열한 인수전이 이미 시작된 지방은행계열은 우리금융지주를 분할해 경남은행지주와 광주은행지주를 설립하고 각각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을 합병해 예보가 매각한다.



다음 달 15일 매각공고를 내고 인수자를 물색하면 내년 5월께 최종인수자와의계약이 마무리될 것으로 공자위는 내다봤다.



금융기관의 금융지주회사 지배금지 등 엄격한 소유규제를 벗어날 수 있도록 지주가 아닌 은행 형태로 매각하고, 남는 지분이 생기지 않게 예보 지분 전체(56.97%)를 한꺼번에 매각한다.



증권계열은 우리투자증권+자산운용+아비바생명+저축은행과 우리엔프엔아이(F&I), 우리파이낸셜[021960]을 우리금융이 개별 또는 묶음으로 동시에 매각한다.



우리금융 이사회 결의와 매각자문사 선정이 필요해 지방은행계열보다 한 달 늦게 매각공고가 나간다.



우리금융이 가진 자회사 지분 전체가 매각 대상이다. 우리금융 지분율은 증권 37.85%, 파이낸셜 52.02%, 생명 51.58%, F&Iㆍ자산운용ㆍ저축은행이 각 100%다.



특히 우리금융은 국가계약법 적용을 받는 국가기관이 아니므로 단독입찰자에게도 매각할 수 있다.



증권계열은 내년 3월이면 매각작업이 끝날 것으로 예상된다.



최대계열사인 우리은행계열은 우리은행과 우리카드, 우리프라이빗에퀴티(PE),개별매각이 어려운 우리에프아이에스(FIS), 금호종금[010050], 우리금융경영연구소등이다.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을 합병해 은행 형태로 전환하고 예보가 이를 매각하며, 증권계열 가운데 매각이 안 된 회사는 은행 자회사로 만들어 함께 판다.



증권계열 인수 윤곽이 드러나고 내년 1월 중 매각 절차가 시작되면 같은 해 10월께 새 주인이 생길 수 있다.



다만, 최소 입찰 규모는 매각 개시 시점에 공자위가 결정하기로 했다.



민영화 추진에 따라 우리금융 주식은 우리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주식 세 종류로 나뉘고 분할과 합병 절차에 따라 각각 약 2∼3주 동안 매매거래가 정지된다.



◇"잠재투자자·시장 입장 존중했다"…금융위, 유효경쟁 낙관 금융위가 이처럼 우리금융을 '분해'하기로 한 것은 현 정부 초기에 민영화를 꼭성공시키겠다는 단호한 의지의 표현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2010년부터 매각 작업이 3번이나 진행됐지만 모두 유효경쟁 요건을 갖추는 데 실패해 매각이 무산됐다.



2, 3차 매각 당시에는 일괄매각 방식을 택한 것이 민영화에 결정적인 걸림돌이됐다는 분석이다.



일괄매각을 하는 것이 절차가 단순하고 경영권 프리미엄을 극대화하기 좋지만시가총액 8조원이 넘는 '공룡 지주사'의 주인을 찾는 것 자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시장이 원하는 방식이 아니라 정부가 원하는 방식을 고집한 셈이다.



3차 매각 당시에는 투자자 입장에서 정권 말 대형 인수·합병(M&A)을 추진하는데 대한 부담이 작용했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결국 Ɗ수'에 도전하는 공자위는 최대한 빨리 매각 작업을 마무리 짓기 위해 매각 대상을 쪼개기로 했다.



또 유효경쟁 요건을 갖추고자 지방은행과 우리투자증권[005940] 등 인기 계열사를 나누고, 여기에 자산운용과 저축은행처럼 시장의 관심이 비교적 낮아 개별 매각이 어려운 계열사를 묶었다.



우리투자증권 '패키지' 구성도 시장 상황에 따라 바꿀 수 있는 길을 터뒀다.



금융위 관계자는 "증권+생명+저축은행+자산운용 묶음도 각 회사에 대한 매수자만 다 나타난다면 분리해 파는 방안을 협의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대한 시장이 원하는 대로 유연하게 대응하겠다는 뜻이다.



금융위의 다른 관계자는 "시장 수요에 따라, 시장이 원하는 방식을 택해 매각실현 가능성을 높이자는 게 기본 취지"라고 설명했다.



◇공적자금 100% 회수는 '난제' 다만, 공적자금을 얼마나 회수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지금까지 한빛은행과 평화은행, 하나로종금 등 우리금융에 지원된 공적자금은출자 9조4천422억원, 출연 3조3천241억원 등 총 12조7천663억원에 달한다.



공적자금 투입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고자 발행한 예보채 이자까지 합치면 우리금융에 투입된 비용은 18조원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금까지 회수된 공적자금은 상장공모와 블록세일 금액 3조6천347억원 등 모두5조7천497억원이다. 예보채 이자를 제외한 출자·출연금의 45.0% 불과하다.



관건은 예보 지분 56.97%를 팔아 얼마나 많은 공적자금을 회수할 수 있느냐이지만 원금 회수 전망이 녹록하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정부 지분은 최근 우리금융 주식이 1만원 선까지 떨어진 점을 고려하면 4조6천억원가량이다. 이미 회수한 금액까지 합쳐도 10조원을 간신히 넘는 수준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공적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우리금융 주가가 주당 1만7천원이상이라는 연구가 있었다"며 "경영권 프리미엄을 합쳐도 공적자금을 다 회수할 수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지주회사의 가치가 자회사 가치의 합보다 낮다는시장 참가자들의 의견이 있다"며 "이번 분리매각이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에도부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