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전력 소비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가운데 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우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등이 20일 내놓은 '전력 수급관리의 전략적 마인드가 필요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GDP 대비 전력 소비량은 한국이 0.44kWh/$로, OECD 평균인 0.25kWh/$를 크게 웃돈다.
국가별로는 프랑스 0.20, 독일 0.18, 영국 0.14, 미국 0.29, 일본 0.22 등이다.
연구진은 "한국의 전력 소비량은 경제발전 및 생활수준 향상을 감안해도 과도한 수준으로 증가해 전력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공한다"고 지적했다.
용도별로는 일반용(도·소매, 음식·숙박업, 일반사무, 공공·행정 업무용), 기타용(심야전력, 교육용, 농사용, 가로등 등)의 전력 소비량이 빠르게 증가했다.
일반용 전력은 2000년 48TWh에서 2012년 102TWh로 2.1배, 기타 용도의 전력은같은 기간 16TWh에서 41TWh로 2.5배 늘어났다.
월평균 전력 사용량이 351kWh 이상인 '전력 다소비 가구' 비중은 2000년 13.4%에서 2011년 29.5%로 두 배 이상 많아졌다. 같은 기간 전력 사용량이 250kWh 이하인가구는 62.8%에서 47.5%로 줄어들었다.
올여름 전력 수요는 공급능력을 뛰어넘어 예비전력이 -198만kW까지 떨어지는 초유의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나오고 있다.
올해 들어 1∼6월 월별 최대전력 사용 시 전력 공급예비율은 10%를 넘어선 적이한 번도 없다.
보고서는 ▲미흡한 전력 수요관리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발전설비 확충 ▲지속가능한 에너지원 개발 미흡 ▲이상기후로 인한 전력수요 급변동 ▲원전의 돌발정지로 인한 공급능력 급감 등 5가지를 최근 전력 위기의 주원인으로 꼽았다.
발전설비 확충 속도는 전력 수요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연간 최대전력 사용량은 2000년 4천101만kW에서 2013년 7천652만kW로 1.87배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설비용량은 1.72배 늘어나는 데 그쳤다.
선진국은 안정적인 에너지원 확보를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을확대하고 있지만 한국은 관련 정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해 여전히 전력 생산의 91.9%를 원자력, 석탄, 복합화력 등 3대 전원에 의존하고 있다.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1.3%로, 독일 17.7%, 프랑스 14.2%, 미국·일본 각각 10.4%, 영국 7.2%에 비해 한참 떨어진다.
보고서는 "국가 에너지 정책의 기본 방향을 '수요관리 강화', '에너지 효율 향상', '공급체계 개선' 등 3가지로 잡고 실효성 있게 추진해나가 현재의 전력위기를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sw08@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