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우 체제 출범…우리금융 민영화 속도낸다>(종합)

입력 2013-05-23 18:43
<<이순우 내정자 기자회견 내용 반영.>>회장에 민영화 '적임자' 내정…분리매각 방식 유력 거론



이순우 우리은행장의 차기 우리금융지주회장 내정으로 12년째 표류한 우리금융 민영화가 속도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내정자가 우리금융 내부 사정에 밝고 빠른 민영화를 위해 행장직을 겸임하기로 한 데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직을 걸고 민영화를 성공시키겠다"며 '배수의 진'을 쳤기 때문이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현재 논의되는 일괄매각과 자회사 분리매각, 지분 분산매각 등 여러 대안을 검토해 다음 달 민영화 '로드맵'을 내놓을 예정이다.



◇이순우, 민영화에 적임…정치색 옅어 이 내정자는 36년간 우리은행(옛 상업은행 시절 포함)에서 잔뼈가 굵었다. 말단행원에서 시작해 은행장과 지주사 회장까지 두루 맡는 첫 사례가 됐다. 그만큼 우리금융 내부 사정에 밝다.



민영화를 앞두고 흔들리기 십상인 우리금융 조직을 다독이는 데는 이런 이 행장이 가장 적임이라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송웅순 우리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 위원장은 23일 기자회견에서 "이내정자는 금융업 전반에 폭넓은 경험과 식견을 쌓았으며, 소탈한 성품과 원만한 대인관계로 내부 조직 장악력을 갖췄다"며 "가장 큰 현안인 우리금융 민영화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내정 배경을 설명했다.



이 내정자도 "우리금융 민영화 로드맵에 따라 조속히 민영화가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민영화가 완료되면 언제라도 미련없이 회장직에서 물러나겠다"고밝혔다.



지난 정부에서 민영화를 추진할 당시 우리은행장을 역임한 이 내정자는 민영화와 관련해 풍부한 경험이 있다.



이런 생각과 경력은 "민영화 의지와 철학을 같이할 수 있는 분이 우리금융을 맡아야 한다"는 신제윤 금융위원장의 인선 원칙에 들어맞는 셈이다.



이 내정자는 민영화에 속도를 내려면 회장과 행장을 겸임해야 한다는 정부의 방침과도 맞아떨어졌다.



다른 후보를 회장에 앉히면 행장 선임 절차를 따로 거쳐야 하지만, 이 내정자는이런 절차를 생략한 채 곧바로 조직을 '민영화 체제'로 가동할 수 있다.



이 내정자가 현 이팔성 회장에 견줘 '정치색'이 옅은 점도 정부의 부담을 덜어준 것으로 풀이된다.



대구고와 성균관대 법대를 나온 이 내정자는 최경환 새누리당 의원의 고교 선배, 정홍원 국무총리의 대학 후배다.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과는 뚜렷한 접점이 없어, 이명박 전 대통령과의 두터운친분이 부각돼 '금융권 4대천왕'이라는 별칭이 붙었던 이 회장과는 대비된다.



◇6월부터 민영화 가속도…'분리매각'에 무게 차기 회장 선임이 일단락되자 관심은 공자위가 다음 달 발표할 우리금융 민영화방안에 쏠린다.



공자위는 "일괄매각, 분산매각, 자회사 분리매각 등을 검토하고 있다"며 조기민영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금융산업 발전 등 민영화 원칙만 되풀이해 강조하고있다.



금융권에서는 여러 민영화 방식 가운데 자회사 분리매각 쪽으로 무게가 기울었다는 관측이 나온다. 경남·광주은행과 우리투자증권[005940] 등 주요 계열사를 쪼개 파는 게 인수자를 찾기 쉽다는 점에서다.



이미 DGB금융지주[139130]와 BS금융지주[138930]가 경남은행 인수 의지를 보이며 신경전을 벌이고 있고, 광주은행은 지역 산업자본이나 JB금융지주가 인수 후보로꼽힌다.



이 행장이 차기 회장 겸 행장을 맡은 것도 분리매각 가능성에 힘을 싣고 있다.



새로운 인물보다는 내년 3월이 임기인 이 행장이 민영화를 마무리하고 회장직에서물러나는 것이 '용퇴'에 부담이 적다는 분석이다.



다만 분리매각은 일괄매각보다 매각 절차가 복잡하고 우리금융이 직접 자회사를떼어 팔 것인지,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팔 것인지 등 '경우의 수'가 남는다. 일부 계열사가 주인을 찾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이미 두 차례 실패한 일괄매각은 우리금융을 한꺼번에 다른 인수자에게 넘기는방식이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아 공적자금 회수율을 높일 수 있고 절차도 가장 단순하다.



하지만 덩치가 큰 우리금융을 한 번에 사들일 주체를 찾기 어렵다는 치명적인단점이 있다. 이날 우리금융 시가총액은 약 9조3천억원이다. 예보 지분(56.97%)만해도 5조3천억원 어치다.



KB금융지주가 일괄매수 후보로 거론되지만 KB금융[105560] 주력계열사인 국민은행은 국민·주택은행의 합병 이후 대규모 구조조정 없이 10년간 '생산성 저하' 논란에 시달렸다. KB금융이 우리금융을 사들였다간 자칫 '소화불량'에 걸릴 수 있다는지적도 있다.



예보의 우리금융 지분을 분산매각(블록세일)하는 방식도 거론되지만, 정부가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기하고 주가 하락 우려가 있는 분산매각을 택할 가능성은 크지않아 보인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우리금융 민영화 의지가 어느 때보다 큰 만큼 적절한 민영화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여러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기는 어렵다"며 "공적자금을 최대한 회수할 것인지, 토종자본인 새 주인을 찾을 것인지 등 여러 목적 중에 무엇을 우선으로 할지 '선택'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언했다.



zheng@yna.co.kr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