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 50대로 퇴장…경제활력 저하 우려
한국경제를 실질적으로 이끄는 젊은 노동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년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29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핵심생산인구(핵심생산층)'는 1천978만명으로 총인구(5천22만명)의 39.39%를 차지했다. 이는 1993년(38.95%)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핵심생산층이란 생산가능인구(15~64세) 중 경제활동이 가장 왕성한 25~49세 인구계층을 뜻한다. 생산·소비 등이 많아 나라 경제의 원천이 되는 집단이다.
핵심생산층은 통계가 작성된 1960년(27.84%)이래 28.47%(1970년)→30.98%(1980년)→37.67%(1990년)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1995년(40.15%)에 처음으로 40%를 돌파했다.
그러나 이 비율은 2006년(42.78%)에 정점을 찍은 뒤 조금씩 줄기 시작했다. 결국 올해 들어 1994년(39.53%)이래 처음으로 40% 아래로 내려온 것이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핵심생산층이 줄어들게 되면 노동력 구조가고령화하며 생산활력, 소비활력이 모두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노동자가 연로할수록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들은 노후대비를 위해 소비도 줄인다. 이렇게 되면 경제가 쪼그라든다. 장기적으로 성장잠재력이 훼손될 수 있다.
핵심생산층이 축소한 것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고령화가 가장 큰이유다. 이들 중 가장 젊은 1963년생도 올해 50대에 접어들었다.
베이비붐 세대는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의 17%(684만명)를 차지한다. 그동안젊은 일꾼으로 한국경제를 끌고 왔지만 이젠 오히려 경제의 가장 큰 불안요소가 됐다.
전문가들은 경제활력을 지키기 위해 고용·인력관리 시스템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정년까지 고강도로 오래 일한다음 퇴직하는 현 구조는 핵심생산층이 늘어날 때 만들어진 것으로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황수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장시간 노동, 높은 노동강도, 연공적인사관리는 중고령자의 생산성을 저하하는 대표적 요인"이고 지적했다.
그는 "관점을 바꿔 능력 위주의 인사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 장시간 노동환경을개선하면 고령자가 충분히 높은 생산성을 발휘하며 더 오래 일할 수 있을 것"이라고강조했다.
clap@yna.co.kr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