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원 가치가 17만 배로…자동차 3천200배 급증주거·교통·교육·문화 등 모든 영역 대변혁저출산·고령화 등 새로운 과제 떠올라
국제사회로부터 구원의 손길을 애타게기다리던 최빈국이 한 해 2조3천700억원을 원조하는 국가로 탈바꿈했다.
산비탈의 움막집과 초가집은 고층 아파트로, 비만 오면 질퍽거리던 좁은 길은전국을 거미줄처럼 잇는 고속도로로 바뀌었다.
교실이 부족해 까까머리 아이들이 밖에서 수업받는 풍경은 기록사진이 됐다. 미군이 쓰다가 만 무기는 우리가 개발한 첨단 신형으로 대체됐고 이젠 경공격기를 수출하기에 이르렀다.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를 벗어나 광복 70년을 맞이한 대한민국의 현주소다.
1인당 국민소득(GNI)이 3만 달러를 바라볼 정도로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룬 덕에주거, 교통, 환경을 비롯한 생활기반은 물론 교육과 문화생활 수준이 해방 전후와는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향상됐다.
가난에 허덕이던 세계 최빈국은 이제 세계 10위권에 근접한 경제대국으로 성장했다. 무역규모로는 세계 8위다.
질주하던 한국호는 최근엔 저출산·고령화·저성장이라는 장애물을 만났다.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던 각종 지표는 주춤거리고 있다. 새롭게 지속가능한 성장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찾아야 할 전환점을 맞이했다.
지난 70년의 이런 변화는 통계로 확인된다. 광복 직후 통계가 없어 정확한 비교가 힘든 것도 많지만 천지개벽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눈부신 고속성장…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눈앞 우리나라는 세계사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고속성장 페달을 밟아왔다.
1인당 국민총생산(GNP)은 공식통계가 있는 1953년엔 66달러였다. 그러던 것이 2014년에 2만8천180달러(1인당 국민소득) 수준으로 높아졌다.
전체 국내총생산(GDP)은 13억달러에서 1조3천억달러(2013년)로 1천배가 늘어났다.
외환보유액은 1960년 1억6천만달러에서 지난 5월 말에는 세계 6위 규모인 3천715억1천만달러로 급증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경제지표인 물가의 경우, 2010년 생산자물가를 100으로 놓고 봤을 때 1945년 물가지수는 0.0006 수준에 불과하다.
1945년 1원의 가치를 2014년 기준으로 환산하면 17만2천원 정도다.
쌀가격은 1945년 80㎏에 0.29원, 지난 5월 기준으로는 15만8천300원이어서 비교자체가 의미 없게 됐다.
산업구조도 '천지개벽'을 했다. 농림·어업의 비중은 1950년대 초 40% 이상에서최근에는 2%대로 줄어들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중은 각각 10%, 40% 내외에서 30%, 60% 내외로 커졌다.
◇ 자동차 2천만대 넘어…도로 포장률 4%→83% 주거 여건은 몰라보게 변했다. 주택보급률은 1965년 78% 수준에서 2013년에 116% 수준으로 올랐다. 1인당 주거면적도 1975년 7.9㎡에서 2012년 31.7㎡로 넓어졌다.
자동차 등록대수는 폭발적으로 늘었다. 1936년 6천296대, 1966년 4만8천838대에지나지 않았으나 지난 2월 현재 2천27만6천대에 달해 3천219배로 늘었다.
자동차가 늘면서 도로 길이와 포장률도 상전벽해를 겪었다. 1944년 2천555㎞이던 도로 길이는 2013년 1억641만㎞로 늘어났고, 1944년 4.2%에 불과했던 도로 포장률은 2012년에는 83.4%에 달해 대부분 도로가 말끔하게 단장됐다.
교육 환경도 확 달라졌다. 1965년에는 유치원이 423곳이었고, 4∼5세 어린이 196만명 가운데 2만명(취원률 1%)만 유치원에 다녔다. 그러나 2014년에는 유치원 수가8천826개로 20배 이상 급증했고, 유치원에 다니는 어린이는 65만2천명(취원율 47%)으로 늘어났다.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는 1970년에 62.1명으로 콩나물시루 같은 교실이었으나,2013년에는 23.2명으로 크게 개선됐다. 이제는 학생수 감소에 따른 폐교조치가 걱정거리일 정도다.
1955년 1인당 우편물 이용통수는 4통에 불과했으나 2003년에는 107.7통으로 무려 27배 늘었다. 그러다가 휴대전화 보급이 늘고 전자우편이 통신수단으로 확산되면서 2013년에는 86.6통까지 떨어졌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감소가 예상된다.
전화기 보급 변화는 드라마틱하다. 1949년 유선전화는 1천명 중 2명꼴로 보급돼있었으나, 2005년 유선전화 가입자 수가 2천292만명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휴대전화보급으로 유선전화 가입자는 2014년 1천694만명으로 대폭 줄어드는 등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휴대전화 가입자는 1990년에 8만명에 불과했으나, 2014년에는 5천720만명을 돌파했다.
혼인은 덜하고 이혼은 급격하게 늘었다. 인구 1천명당 혼인 건수를 의미하는 조혼인율은 1930년 10건이었으나, 2014년 6건으로 뚝 떨어졌다. 조이혼율은 1930년 0.
5건에 불과했으나 2014년에는 2.3건으로 5배 가까이로 뛰어올랐다.
보건·복지 분야도 크게 향상됐다. 영아사망률은 1950년대 1천 명당 138명에서2014년에는 2.9명으로 크게 줄었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숫자는 1950년 22.3명에서2013년엔 218.2명으로 10배 가깝게 증가했다.
지구온난화 영향 탓인지 우리나라가 따뜻해졌다. 1936년 서울의 평균기온은 10도였으나, 2014년에는 13.4도로 3.4도나 올라갔다.
지금은 생소하지만 70여년 전에는 곰이나 이리 같은 산짐승에 의한 피해도 걱정거리여서 1941년엔 인명 피해가 61명에 달했다.
◇ 전차 0대→2천400대…전쟁 겪고 강해진 군사력 광복 이후 눈에 띄게 발전한 분야 중 하나는 바로 국방이다. 남북 대치 상황과경제 발전 속에서 군사력은 세계 7위까지 뛰어올랐다.
해방된 지 5년째인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때 10만5천여명이던 국군 전체병력은 2014년 10월 기준 63만명으로 6배로 늘어났다.
당시 한대도 없었던 전차는 2천400대로, 27대에 불과한 장갑차는 2천700여대로증가해 육군과 해병대의 주요 전력이 됐다. 또 곡사포가 91문, 박격포 960문, 대전차포 140문에 불과했으나 현재 전체 야포는 5천600여 문에 달한다.
공군은 연습·연락기 22대만 보유해 유명무실했으나 지금은 전투임무기(400여대), 감시통제기(60여대·해군 포함), 공중기동기(50여대), 훈련기(160여대) 등을 갖췄다.
경비함 28척, 보조함 43척에 그쳤던 해군은 전투함정 110여척, 상륙함정 10여척, 기뢰전함 10여척, 지원함정 20여척, 잠수함정 10여척을 보유함으로써 '대양해군'의 지위에 올랐다.
그럼에도 양적으로는 한국전쟁 개전 초기처럼 여전히 북한이 우위에 서 있다.
2014 국방백서를 보면 북한 병력은 120만명으로 남한의 2배에 이른다.
북한의 전차(4천300여대), 야포(8천600여문)는 남한의 1.5배 이상, 다연장·방사포(5천500여문)는 약 28배나 된다.
북한 해군 함정은 약 800척으로, 170척 수준인 남한의 5배에 달한다.
북한 공군도 전투임무기(820여대), 공중기동기(330여대) 등 보유 대수가 우리군보다 많다.
그러나 북한은 구식무기가 대부분이어서 질적인 전력에서는 우리가 우위라는 게대체적인 평가다.
◇ 저출산·고령화 등 새로운 도전 과제 부상 사회 구조가 급격히 변하면서 새로운 과제도 떠올랐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의 가속화로 사회가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내년을 정점으로 생산가능인구도 줄어들기 시작한다. 국가의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다.
이미 2000년부터 고령화 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 이상)에 들어섰다. 작년 고령화율은 12.7%에 이르러 고령사회(14% 이상) 진입이 초읽기의 문제가 됐다.
15세 미만 인구는 1955년 41.2%에서 2014년에는 14.3%로 3분의 1 수준이 됐다.
아기 울음소리가 줄었기 때문이다.
한 여성이 가임기간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인 합계출산율은 1970년 4.53명에서 2013년 1.21명으로 낮아졌다. 한 국가의 인구 규모를 현상 유지하는 데 필요한 출산율인 인구 대체수준 2.1명에 한참 못 미친다.
반면에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에 3.3%에서 12.7%로높아졌다.
이처럼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경제의 활력이 떨어지고 성장 잠재력은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이런 저출산 등 영향으로 실질 성장률이 2060년에는 0.8%로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경제동향분석실장은 "경제 구조 자체를 확 바꾸지 않으면 지속가능한 성장이 힘든 상황"이라며 "여성과 고령층을 노동시장으로 더 끌어들이는 등 앞으로 30년을 뒷받침해줄 인구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lkbi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