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재포럼 2018 - 미래를 여는 도전
인터뷰 -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명예교수
"기술의 발전 가속화돼도
인간이 지켜야 할 덕목은 은유하는 능력과 호기심"
[ 오형주 기자 ] “기계가 인간을 지배하는 디스토피아적 상황을 우려해 기계의 발전속도를 따라가지 않는다면 그보다 더 불행한 피지배 상황을 다른 인간들에게 겪을 수도 있습니다.”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명예교수(사진)는 오는 6~7일 서울 광장동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리는 ‘글로벌 인재포럼 2018’을 앞두고 한국경제신문과 한 인터뷰에서 “아직 열리지 않은 4차 산업혁명 이후 미래에 대해 벌써부터 비관할 필요는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인재포럼에서 기술혁신 시대에 인간 가치를 일깨우는 교육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들려줄 예정이다.
최 교수는 기술 발전이 점점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인간 고유의 가치를 지켜야 하느냐는 물음에 “어느 시대든 변하지 않는 절대적인 인간 고유의 가치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다만 인간이 언제나 지켜야 할 덕목은 은유하는 능력과 호기심”이라며 “특히 한국과 같은 4차 산업혁명 후발주자들은 은유하는 능력과 호기심으로 무장해 변화하는 과학기술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노력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불평등 문제에 대해서도 최 교수는 비슷한 맥락의 해법을 내놨다. 그는 “소득주도성장이나 포용성장은 생산성이나 노동 윤리 혹은 국가 전체의 경제력이나 국제적 경쟁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그 중심이 되는 ‘성장’을 해치지 않는 적절한 정도(程度)를 정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결과의 평등보다는 기회의 평등으로 불평등을 해소하려 노력하는 것이 더욱 윤리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2015년 설립된 건명원의 초대 원장을 맡고 있다. 창의적 인재 육성을 모토로 설립된 건명원은 국내 인문·과학·예술 분야 석학들이 합류하면서 기존 틀을 뛰어넘는 도전적인 교육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 교수는 “현 교육제도는 묻는 질문에 대답을 잘하는 ‘중진국형 인재’를 기를 수 있도록 구조화돼 있다”며 “이제는 단순히 정답을 찾고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새로운 미래를 열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 건명원 설립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건명원은 매년 30명의 ‘소수 정예’를 대상으로 라틴어에서 뇌과학에 이르기까지 수준 높은 교양교육을 한다. 최 교수는 “대학 합격에만 초점을 맞추는 교육으로는 미래를 열어갈 선진국형 인재를 절대 길러낼 수 없다”며 “엘리트 인재 양성을 단순히 평등-불평등의 문제로 보고 소홀히 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