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나눔은 기적의 마중물이다

입력 2018-03-25 17:48
박경서 < 대한적십자사 회장 redpr@redcross.or.kr >


매년 3월22일은 갈수록 심각해지는 물 부족과 수질 오염을 방지하고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해 유엔이 정한 ‘세계 물의 날’이다. 전 세계 인구의 약 10%에 해당하는 6억6300만 명이 위생적인 식수 시설이 아예 없거나 접근조차 어려운 지역에 살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약 80%가 수인성 질병이라는 통계도 있다.

지난주 세계 물의 날을 보내면서 1983년 필자가 세계교회협의회(WCC) 아시아 국장 자격으로 중국 우이현을 방문했을 때 일이 생각났다. 그들에게 무엇이 가장 필요한지 물었더니, 돌아온 답은 식수였다. 이를 듣고 세계교회협의회와 유엔개발계획이 합의해 함께 우물을 파주는 사업을 했다.

마을의 변화는 이때부터 시작됐다. 우물이 생기자 주민들은 음료수와 관개수로 그 물을 사용해 그동안 버려졌던 농토까지 살려냈다. 그다음에는 농토에 대추나무를 심고, 대추가 열리자 그것을 타지방에 보급했다. 3년째 됐을 때는 소, 염소, 양, 오리, 밍크 등 여러 가축도 사육하기 시작했다. 우물 하나로 우이현은 제일 못살던 곳에서 부유한 농촌마을이 됐다. 물이 가져다준 놀라운 변화였다.

지금도 아시아와 아프리카 저개발 국가에는 물 부족으로 몸살을 앓는 지역이 많다. 물 한 동이를 얻기 위해 하루 10시간씩 걸어야 하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식수를 구했다 하더라도 오염된 물을 마시고 탈이 나는 경우가 허다하다. 설사와 같은 수인성 질병은 이들 국가에서는 감기처럼 흔하다.

대한적십자사는 네팔, 인도네시아, 라오스, 인도 등 세계 각지에서 깨끗한 물과 화장실을 보급하고 위생교육을 실시하는 ‘물과 위생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물 한 동이를 얻기 위해 걷고 또 걸어야 했던 아이들이 축구를 하고, 공부를 하고,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됐다.

지금은 박물관이나 가야 볼 수 있는 유물이 됐지만 1970~198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의 많은 가정에서 수동 펌프를 사용해 물을 끌어 올렸다. 물을 얻기 위해서는 펌프 입구에 한 바가지의 물을 먼저 부어야 했는데, 그것을 마중물이라고 한다. 적은 양의 물이지만 많은 물을 끌어내기 위해 꼭 필요한 물이다.

과거 우이현에서 팠던 열여덟 개의 우물은 우이현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키고 풍요를 가져다준 마중물이었다. 그리고 지금 이 시간에도 세계 곳곳에는 한 바가지의 마중물을 기다리는 수많은 이들이 있다. 그것이 우물이든, 교육 환경이든, 아니면 의료 지원이든, 그들의 펌프에서 물을 솟구치게 할 한 바가지의 마중물이 절실하다. 마중물의 기적, 누구든 마음만 먹으면 함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