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에세이집 《수인》 발간
[ 심성미 기자 ] “결국 나를 끌고 온 건 문학이었습니다. 캄캄한 밤에도 저 멀리서 반짝이는 불빛처럼 문학은 나를 끌어당겼습니다. 문학은 나의 인생이었고, 집이었습니다.”
소설가 황석영 씨(74·사진)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본 자전(自傳) 《수인》(문학동네)을 펴냈다. 책 두 권에 유년 시절부터 베트남전 참전, 민주화 운동, 방북과 망명, 옥살이 등 파란만장한 인생사를 담았다.
황 작가는 8일 서울 세종대로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문학이라는 목표와 신념이 없었다면 삶을 살아내지 못했을 것”이라고 털어놨다.
“베트남전 땐 긴 밤을 지새우며 ‘죽지 않으면 좋은 글을 쓰겠다’고 기도했어요. 5년 옥살이를 하고 나온 뒤 주변 사람 모두가 ‘다시는 글을 못 쓸 것’이라고 얘기할 때도 오히려 마음은 평온했습니다. 제 작품과 인생을 합치시키려고 노력했습니다.”
책은 시간순으로 따라가지 않고 5년간의 수감 시절과 바깥에서의 삶을 번갈아가며 서술한다. 망명 생활을 마치고 귀국하자마자 안전기획부 수사관에게 취조당하는 장면에서 시작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특별사면으로 출소하던 날로 끝난다. 책의 중심 시점을 수감 시절로 설정한 데 대해 황 작가는 “한반도에서 살아온 한 개인이 갈망하던 자유에 대해 얘기하려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책에 다른 제목을 붙이자면 ‘자유란 무엇인가’ 정도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작가에게 자유란 무엇일까. 그는 ‘모든 것으로부터의 자유’를 갈망한다고 말했다.
“인간은 시간에 속박돼 있죠. 작가이기 때문에 언어라는 감옥에 갇혀 있기도 하고요. 역사라는 그늘에도 놓여 있습니다. ‘역사에 책임을 져야 한다, 행동해야 한다’는 주장 자체가 억압이자 속박이었습니다. 나는 모든 사회적 요구와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를 갈망해왔습니다.”
책 맨 앞 장엔 어머니에게 바치는 헌사를 썼다. 그는 “어머니는 ‘소설가가 된다는 건 자기 팔자를 남에게 내어주는 일’이라며 내가 쓴 글을 아궁이에 던질 정도로 소설가가 되는 걸 무척이나 반대하셨다”며 “하지만 피란 중에도 헌책방에서 세계명작을 사다 읽히고 매일 일기를 쓰게 한 어머니가 나를 작가로 키워낸 힘이었다”고 회고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