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김동연 후보자와 첫 인연 맺은 장하성 실장의 2015년 '아주대 강연' 들어보니…

입력 2017-05-22 17:35
"한국의 불평등 심화, 보수·진보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

"보수는 '박정희때 이랬다'며 과거로 미래를 설계하고
진보는 '유럽은…' 이상에 매달려"

"기업은행에 예금하면 기업 아닌 정규직이 사는 것"
비정규직 실태 꼬집기도


[ 조미현 기자 ] 2015년 어느 날 장하성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사진)는 김동연 아주대 총장에게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김 총장은 “장 교수의 책을 인상 깊게 읽었다”며 아주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연해 줄 것을 요청했다. 장 교수는 잠시의 망설임도 없이 김 총장의 요청을 수락했다. 이 같은 첫 만남이 있은 지 2년 만에 장 교수와 김 총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청와대 정책실장과 부총리 후보자로 다시 만났다.

장 실장은 지난 21일 정책실장에 임명된 뒤 문재인 대통령의 경제정책인 ‘제이(J)노믹스’를 함께 이끌어 갈 김 후보자와의 인연을 이렇게 소개했다. 그는 김 후보자가 총장에 취임한 지 두 달 만인 4월2일 ‘한국 자본주의, 3무(無) 시대의 3포 세대는 희망이 있는가’란 주제로 아주대에서 1시간20분 동안 강연했다.

장 실장은 강연에서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성장률이 항상 높았다”며 “하지만 성장하면서도 임금과 일자리는 늘어나지 않는 불평등 자본주의가 고착화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은 가계에서 임금소득 비중이 높기 때문에 임금이 늘어나지 않으면 잘살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이 J노믹스에서 약속한 ‘소득 주도 성장’, ‘최저임금 인상’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 해소’ 등의 정책과 맞닿아 있는 얘기다.

대기업에 대해서는 구체적 사례를 들어가며 비판했다. 장 실장은 “기업은행은 은행 가운데 비정규직 비중이 32%로 가장 높고, 여성 직원의 비정규직 비율은 51%에 달한다”며 “사업보고서를 보고 직접 추정해 보니 정규직 평균 임금은 연 9600만원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광고에서 ‘기업은행에 예금하면 기업이 산다’고 하는데 결국 정규직 직원이 사는 것이었다”고 꼬집었다.

현대자동차에 대해서는 1~3차 업체 간 근로자 임금 격차를 이론적으로 이해하기 힘들다고 했다. 장 실장은 “현대차의 연평균 임금은 9400만원인데 현대차에 부품을 납품하는 2, 3차 협력업체 근로자는 2000만원대를 받는다”며 “(이 같은 임금 격차는) 경영학과 경제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어 ‘힘의 논리’에 의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장 실장은 “한국은 서비스산업으로는 성장할 수 없다”고 단언하면서 대한통운을 인수한 CJ를 예로 들었다. 그는 “CJ가 대한통운을 인수할 때 인수전에 함께 뛰어든 삼성SDS는 인수에 실패한 뒤 결국 대한통운과의 거래를 끊었다”며 “재벌들이 내부거래를 하는 이상 서비스업에서 삼성전자 같은 세계적 기업이 나올 수 없다”고 했다.

한국에서 불평등이 심화된 데는 보수와 진보 모두에 책임이 있다는 게 장 실장의 생각이다. 그는 “보수는 ‘박정희 때는 이랬다’며 과거로 미래를 설계하고, 진보는 입만 열면 ‘유럽이 어떻다’며 이상에만 매달린다”고 지적했다. 장 실장은 “임금 평등, 고용 평등, 보육 평등은 어떤 국가적 과제보다 시급하다”며 “가장 중요한 건 정책으로 실현할 정치적 리더십”이라고 강조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